
LG유플러스(대표 하현회)는 13일 서울과 수도권 5G 네트워크에 이같은 내용의 통합 광신호를 이용한 광선로 감시시스템 적용을 시작했다고 13일 밝혔다.
이통사가 5G통신 서비스를 할 경우 사용자에게 데이터 콘텐츠가 송수신되기까지에는 5G 중계기와 기지국, 통신국사 등 여러 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광선로는 이들 장비와 국사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달하기 때문에 안정성 확보가 중요하고 장애 등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그 위치를 곧바로 파악해 이를 해소할 수 있어야 한다.
광선로감시시스템은 LG유플러스가 중소기업 유비쿼스, 코위버 등과 함께 상생협력을 통해 개발한 기술로써 5G 중계기와 기지국, 통신국사간 광선로는 물론 인터넷과 전용회선 서비스에 사용하는 유선망 상황까지 24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특히 광신호 파장 분석을 통해 어디서 광선로 이상이 발생하든 10미터 이내 오차 범위로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기존에는 광선로에 단선 등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단선 지점을 찾기 위해 운영자가 측정기를 가지고 직접 국사에 출동해 각 회선별로 광신호 값을 측정해 수십분 이상 소요됐으나 이번 광선로감시시스템 도입으로 개별 광선로별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해 신속한 장애 복구가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LG유플러스 5G 고객들은 4G보다 한차원 높은 통신망에서 VR(증강현실)과 AR(가상현실) 등 5G 콘텐츠를 즐길 수 있고 IPTV와 인터넷서비스 등을 이용하는 고객들도 향상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G유플러스 기간망담당 조창길 상무는 “광선로는 우리 몸의 혈관과 같아 고객에게 제공하는 유무선 통신서비스의 수많은 데이터들이 끊임없이 흐르기 때문에 5G 서비스는 물론 기업 전용회선, 홈 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위한 광선로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 감시는 필수적”이라며 “광선로감시시스템 적용으로 망 안정성 측면에서 차별화된 고품질의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안재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emi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