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는 25일 경기도 판교 카카오 본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뉴스검색 서비스 변경 결정 내용을 알리는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간담회는 이날 이른 아침에야 기자들에게 통지됐을 정도록 급작스레 열렸다. 카카오 측의 발표 내용은 최근 배우 고 설리의 비보와 조국 전 법무부 장관 관련한 실시간검색어, 가짜뉴스 이슈 등으로 포털들의 뉴스댓글이나 검색 기능에 대한 논란이 가속화됐던 상황과도 무관하지 않음을 말해 준다.
여민수 대표는 "저희는 오래 전부터 댓글을 포함하여, 뉴스, 관련 검색어, 실시간 이슈 검색어 등 사회적 여론 형성과 관련된 서비스 전반을 어떻게 개선할지 고민해 왔다"면서 "플랫폼이 성장해 가는 과정에서 변화된 사회 요구와 사용자 이용 패턴을 보다 잘 담을 수 있는 길, 이용자 개인에게 최저고하된 서비스, 카카오 플랫폼을 더 건강하고 유익한 생태계로 만들기 위한 방안을 찾고 있었다"고 이 조치에 대한 배경을 설명했다.
뉴스 서비스 개편 방향에 대한 설명도 이어졌다. 카카오만이 할 수 있는 구독기반 콘텐츠 서비스를 만드는 쪽으로 방향을 설정했고, 이를 기반으로 플랫폼 전반의 개편을 준비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는 내년 상반기 중 이뤄질 계획이다. 이와 관련, 이달 초 조수용 대표가 방송통신위원회 국감에 증인으로 출석해 "내년 총선 기간 동안 실시간 검색어 기능 폐지 등을 고려하고 있다"는 발언 관련, 시행 여부에 대한 질문이 나왔다. 다만 조 대표는 "서비스 개편에 대한 전체 프레임은 자체 일정에 따라 진행되는 것으로, 선거 기을두고 하는 것은 아니다"고 답했다. 또한, 국감에서 실시간 검색어 알고리듬을 공개할 의향이 있다고 발언했던 것에 대해서는 "어떤 형태로, 누구에게 어느 범위로 공개하냐가 관건이며, 이것은 어뷰징 리스크를 감안해야 하는데, 이는 상호 (공개에 대한) 적절한 환경이 구성된다면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내년 상반기 플랫폼 전면 개편을 예고한 카카오가 이달을 시작으로 연예 섹션의 댓글을 폐지하고 인물 검색의 연관검색어 기능을 먼저 없애는 이유에 대해서는 '사람' 중심으로 명예훼손이나 인격모독 등 댓글 기능을 통한 부작용이 매우 심하다는 내부 판단에서 비롯된 것이다. 여 대표는 "일단 사람을 봤다. 연내 폐지되는 기능들은 인물 검색 관련 검색어들이다"라면서 "사람 과련 사안들에 대한 폐해를 먼저 선제 조치하고, 그 이후 어떤 정치 현안이나 사회 사건은 향후 상황과 이용자 반응 고려해 순차적으로 적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내년 상반기 플랫폼 개편 방향에 대해서는 카카오 계정 기반의 개인화 서비스가 잘 되어 있는 특성을 살려 더욱 개인 맞춤형 콘텐츠 감상이 가능하도록 나아가겠다고 밝혔다. 미디어 기사나 블로거, 브런치 작가들의 개인 콘텐츠 모두를 개인들이 구독하는 방식의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고, 이날 발표된 뉴스 댓글, 검색 기능 등의 변화를 모두 아우르는 전반적인 개편을 예고했다.
네이버 서비스와 연관된 질문도 이어졌다. 네이버가 앞서 도입을 예고한 바 있는 '인플루언서 검색' 기능과 플랫폼 개편 방향이 유사해지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 여 대표는 "카카오는 전 국민이 계정에 로그인해 사용하는 개인화 가능한 서비스로, 검색 결과뿐 아니라 내가 원하는 콘텐츠를 구독하기에 충분하고, 개편 방향은 네이버 인플루언서 검색과는 다를 것"이라면서 "많은 이용자들은 이미 콘텐츠를 구독, 유튜브 등을 통해 보고 있다. 이를 카카오식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설명했다.
조수용 대표는 다만 다음과 카카오의 브랜드 통합하는 정도로의 개편은 아직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조 대표는 "전국민에 똑같은 기사들의 나열을 보여주는 것을 포털의 '어젠다 세팅' 기능이라고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다른 사명감을 가져야 한다고 본다"면서 "이에 뉴스프로그램을 넘어서 포털 의무와 사명이 뭔지에 대한 것들을 고민해 왔고, 기업 철학 차원으로 오랫동안 고민해왔다"고 말했다. 이어 "댓글 기능 폐지는 트래픽 감소한다는 점에서 비즈니스적으로 리스크 있는 데도 이번 결정을 내렸다. 아직 내년 개편에 대한 부분은 자세히 말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여 대표는 "이번 발표가 끝이 아니고 시작으로 봐줬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박수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sh@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