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KAIST, 두뇌 인지 기능 조절 신경 펩타이드 발견…"치매 치료제 획기적 계기"

글로벌이코노믹

KAIST, 두뇌 인지 기능 조절 신경 펩타이드 발견…"치매 치료제 획기적 계기"

신경 펩타이드인 소마토스타틴에 의한 인지 능력 향상과 회복 가능성 열어
KAIST 황양선 석사(왼쪽부터), 송유향 박사, 이승희 교수. 사진=KAIST이미지 확대보기
KAIST 황양선 석사(왼쪽부터), 송유향 박사, 이승희 교수. 사진=KAIST

KAIST(총장 신성철)는 이승희 교수(생명과학과) 연구팀이 두뇌에 존재하는 신경 펩타이드 중 하나인 소마토스타틴(somatostatin)이 두뇌 인지 기능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23일 밝혔다.

KAIST에 따르면 이 교수 연구팀은 특정 가바(뇌세포 대사 기능을 억제 신경 안정 작용을 하는 신경 전달 억제 물질) 분비 신경 세포에서 분비되는 펩타이드 중 하나인 소마토스태틴이 시각 피질의 정보 처리 과정을 조절하고 높일 수 있음을 규명해 치매 등의 뇌 질환 치료제 개발의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자유롭게 움직이는 실험용 생쥐에서 시각정보 인지 및 식별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실험 장비를 개발 및 도입했다. 이를 통해 생쥐의 시각피질 또는 뇌척수액에 소마토스타틴을 직접 주입한 후 이를 관찰해 생쥐의 시각정보 인지 능력이 현저히 증가함을 발견했다.

나아가 소마토스타틴의 처리에 따른 생체 내 또는 뇌 절편에서의 신경 세포 간 신경전달 효율의 변화를 측정하고, 해당 신경망을 연속 볼록면 주사전자현미경(SBEM)으로 관찰해 소마토스타틴에 의한 시각인지 기능의 향상이 이루어지는 생체 내 신경 생리적 원리를 규명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향후 인간을 비롯한 포유류의 두뇌 인지 기능을 조절 가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퇴행성 뇌 질환 등에서 나타나는 인지 기능 장애 치료에 폭넓게 응용 및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승희 교수는 “이번 연구는 두뇌 기능을 높이고, 뇌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약물 개발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KAIST 생명과학과 송유향 박사, 황양선 석사, 바이오및뇌공학과 김관수 박사과정, 서울대학교 의과학대학 이형로 박사과정이 공동 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Science Advances)’ 4월 22일 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최영운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young@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