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일 의료계와 정부 등에 따르면 정부의 의료 정책에 반발해 무기한 집단휴진에 나선 대형병원 전공의 비율이 85.4%로 나타났다. 이날 보건복지부가 전공의 수련기관 200개 가운데 152개 기관의 집단휴진 참여 현황을 점검한 결과 전공의 8700명 중 7431명이 근무를 하지 않았다.
집단휴진에 참여하는 전공의는 꾸준히 늘고 있다. 지난달 24일 조사에서 69.4%를 기록한 다음 25일 58.3%, 27일 68.8%, 31일 83.9% 등으로 집단휴진 참여 전공의 비율이 치솟았다. 특히 85.4%라는 수치는 복지부 조사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여기에 해당 기관 전임의 2094명 가운데 29.7%인 621명도 파업에 동참했다.
여기에 전국 대학병원 교수들이 전공의와 전임의의 편에 섰다. 이들은 의과대학 정원 확대와 공공의료대학원 설립 등 정부의 의료 정책 철회와 원점 재검토를 주장하는 전공의·전임의의 손을 들어주며 이들을 처벌할 경우 사직하겠다는 뜻을 밝히며 집단행동을 본격화 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교수협의회가 2일 성명서를 내고 앞으로 필수 진료에만 임하겠다고 선언했다. 이에 앞ㅎ서 전국 의과대학 교수협의회도 지난달 말 정부가 업무개시 명령을 따르지 않고 진료 현장에 미복귀한 전공의·전임의 10명을 경찰에 고발하자 즉각 행동에 나섰다.
지난 1일 발족한 서울대학교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서울대학교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보라매병원 등 관계자 128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응답자의 77.5%가정부의 의료 4대 정책 철회 혹은 원점에서 재논의라는 내용을 명문화 할 때까지 파업을 계속해야 한다는 응답했다.
이런 가운데 정부와 의료계가 다시 만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이 국회에서 최대집 대한의사협회 회장과 박지현 대한전공의협의히 비상대책위원장을 만나 '제로 상태에서 논의할 수 있다'는 입장을 전하며 정부와 의료계가 협상 테이블에 앉을 수 있는 기회가 찾아왔다.
아울러 의협을 중심으로 전공의·전임의·의대생이 참여하는 젊은의사 비상대책위원회를 중심으로 한 '범의료계 4대악 저지 투쟁 특별위원회'가 3일 오후 1시 서울 용산구 의협 회의실에서 회의를 열고 정부와의 최종 협상안을 마련한다.
한 의료계 관계자는 "전공의와 전임의 등 의료계의 집단행동이 계속되는 가운데 3일 범투위가 회의를 열고 정부와의 최종 협상안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의료계와 정부가 다시 얘기를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황재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soul38@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