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금융투자정보업체 에프엔가이드에 따르면 포스코케미칼의 부채성 비율(레버리지 비율) 척도인 유동비율은 안정적인 편이다.
포스코케미칼은 지난해 유동비율이 367.4%를 기록했다.
지난해 포스코케미칼의 부채는 1조644억 원이며 총자본은 1조236억 원이다.
포스코케미칼의 부채총액을 총자본으로 나눈 부채비율은 104%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이 100% 이하이면 재정이 안정적이라고 평가한다.
매출액은 지난해 말 기준 1조5662억 원으로 2019년(1조4838억 원)과 비교해 5.5% 증가했다.
기업 성장성 지표인 매출액 증가율은 2019년 7.2%에서 지난해 5.6%를 기록했다. 지난해 영업이익도 603억 원으로 2019년(899억 원)과 비교해 33% 줄었다.
매출에서 얼마만큼 이익을 내는 지를 나타내는 매출총이익률(GPM)은 9.2%다. 수익성 비율인 GPM이 8%를 넘으면 비교적 남는 장사를 했다는 얘기다.
포스코케미칼은 주요 수익성 지표 EBITDA 마진율도 비교적 좋은 편이다. EBITDA 마진율은 기업이 영업 활동으로 벌어들인 현금 창출 능력을 보여주는 지표다.
포스코케미칼의 법인세·이자·감가상각비 차감 전 영업이익(EBITDA)을 영업수익으로 나눈 EBITDA 마진율은 8%다.
영업이익률은 3.9%로 2차전지 소재 양극재 제조업체 에코프로비엠의 영업이익률(6.4%_ 보다는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기업 총자산에서 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인 총자산이익률(ROA)은 1.6%다.
이와 함께 지배주주순이익(연율화)을 지배주주지분(평균)으로 나눈 수치인 자기자본이익률(ROE)도 3%로 비교적 낮은 편이다
ROE는 기업이 투자한 자본을 사용해 얼마만큼 이익을 올리고 있는 지를 보여주는 자본 활용도다. 쉽게 말하면 수익성 지표 중 하나다.
ROE가 낮다는 것은 자기자본에 비해 거둬들이는 당기순이익이 비효율적인 경영활동에 쓰인다는 뜻이다. .
남지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ini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