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포드, 배터리 결함 이슈 '내재화' 속내?…SK온 평온한 이유

글로벌이코노믹

산업

공유
1

포드, 배터리 결함 이슈 '내재화' 속내?…SK온 평온한 이유

국내에서 배터리 생산 장비 들여오는 포드, 생산기술 내재화 집중
국내 3사 "개발부터 생산까지 20년 이상 걸린 노하우가 핵심기술"

포드자동차의 전기차 충전방식인 E-트랜짓. 사진=포드자동차이미지 확대보기
포드자동차의 전기차 충전방식인 E-트랜짓. 사진=포드자동차
북미 3대 완성차업체 중 하나로 손꼽히는 포드자동차의 '배터리 결함 이슈'가 배터리 생산 능력 내재화 때문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갑작스런 배터리 결함 가능성으로 이유로 F-150라이트닝 전기픽업트럽의 생산과 출하를 중단한 배경으로 배터리 생산능력으로 포드가 직접 확보하고, 이를 기반으로 배터리 업체들을 압박할 것이란 해석이 나오는 이유다.

그러나 정작 긴장해야 할 배터리업체들은 평온한 모습이다. 배터리 생산기술을 확보한다고 해서 대규모 상업용 생산능력을 보유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어서다. 배터리 상용화 과정에 생산기업의 노하우가 그만큼 중요하다는 반증이다.
20일 배터리업계에 따르면 포드는 최근 파우치 타입 배터리 생산 장비를 조만간 미국에 반입할 것으로 알려졌다. 포드 배터리 개발진이 직접 우리나라를 찾아 장비를 살펴보고 선정했다는 후문이다. 해당 장비들은 포드가 운영하는 미시건주 '아이언파크'에 구축될 것이란 관측이다.

포드가 도입하는 장비 규모가 알려지지 않았지만, 관련업계에서는 파일럿 수준의 장비를 도입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대규모 장비 발주일 경우 배터리 밸류체인을 통해 원료부터 소재, 장비에 이르는 발주 요청서가 업체들에 전달돼야 하는데, 아직까지 포드로부터 대규모 발주를 요청받았다는 업체가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포드가 도입하려는 장비는 파우치 배터리 개발 장치로 예상했다. 파우치 배터리는 다양한 형태로 배터리를 만들 수 있어 현재 포드와 제너럴모터스(GM), 폭스바겐 등 글로벌 완성차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형태의 배터리 중 하나다.

실제 포드 역시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에서 파우치형 배터리를 공급받고 있다. 배터리 결함 이슈가 발생한 F-150 라이트닝 전기픽업트럭 역시 SK온으로부터 납품받은 파우치형 배터리가 전량 탑재된다.

국내 배터리업체들은 포드의 배터리 장비 도입의 목적을 '직접 생산'으로 해석하고 있다. 배터리 제조사가 아닌 포드가 직접 배터리를 생산해 완성차라인에 납품하는 수직계열화에 나설 것이란 관측이다. 실제 짐 팔머 포드 CEO는 지난 2020년 11월 "배터리 셀 제조를 검토 중"이라며 "2021년에 배터리 개발센터를 만들겠다"고 밝힌 바 있다.

완성차업계에서는 포드가 배터리 생산능력을 보유하게 될 경우 전기차업계에 상당한 파장이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포드는 현재 SK온과의 합작법인인 블루오벌SK, LG에너지솔루션 등으로 배터리를 납품받고 있으며, 최근에는 중국 CATL과 제휴를 맺으며 배터리 공급망을 확대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생산능력을 확보할 경우 배터리 공급망의 주도권을 포드가 쥐게 될 것이로 자동차업체들은 내다봤다.

국내 배터리업체들에게는 위협적인 상황이 연출될 수 있다는 의미다.

그러나 SK온을 비롯해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등 국내 배터리업체들은 포드의 행보에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배터리 개발능력을 확보하는 데까지는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배터리제조사들처럼 대규모 상업용 생산에 나서는 것은 상당한 노하우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실제 포드보다 한발 앞서 원통형 배터리 생산기술을 확보한 테슬라는 상용화에 상당한 시간이 걸렸으며, 폭스바겐이 주도하는 노스볼트 역시 배터리 대량 생산에 여전히 난항을 겪고 있다. 단순히 기술을 확보한다는 것과 대규모 상업용 생산은 격은 다르다는 게 관련업계의 입장이다.

국내 배터리업체 한 관계자는 "국내 배터리업체들의 경우 배터리 개발부터 생산, 상용화까지 20년 이상의 시간과 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상용화에 성공할 수 있었다"면서 "포드가 배터리 장비 확보를 통해 상용화 생산 기술 확보에 나서고 있지만, 국내 배터리업체들처럼 대규모 상용화에 필요한 노하우를 얻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종열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eojy78@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