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R&D로 살펴본 글로벌 기술 패권, 中이 美에 완승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1

[초점] R&D로 살펴본 글로벌 기술 패권, 中이 美에 완승

미국과 중국의 첨단기술 개발 현황 비교. 사진=ASPI이미지 확대보기
미국과 중국의 첨단기술 개발 현황 비교. 사진=ASPI

미국과 중국은 거의 모든 분야에서 글로벌 패권을 다투고 있는 최대 라이벌이다.

그 가운데서도 경쟁이 가장 치열한 분야가 미래 먹거리, 즉 첨단 기술 개발 분야다.

그러나 현재 벌어지고 있는 기술 경쟁 구도만으로는 미래를 예상하기 어렵다. 연구개발 투자에 얼마나 국가적으로 공을 들이고 있는지 들여다봐야 큰 그림이 그려질 수 있다.

4일(현지시간) 야후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국방 및 안보 전문 싱크탱크로 유명한 호주전략정책연구소(ASPI)가 최근 1년간 세계 각국의 ‘결정적 기술’ 수준을 조사한 결과 일반의 예상과 다르게 중국이 미국을 압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결정적 기술이란 미래를 이끌어갈 것으로 예상되는 최첨단 기술을 말한다.

다양한 분야의 연구논문 발표를 통해 나타난 연구개발(R&D) 투자 실적과 연구논문이 전세계적으로 얼마나 많이 인용됐는지를 비교한 결과다.

일부 분야에서는 중국이 ‘나홀로 선두’를 지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中, 44개 첨단기술 개발 분야서 압도적 으뜸


ASPI가 미 국무부의 지원을 받아 발표한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이번 조사는 지난 1년간 44가지 첨단기술 분야에 걸쳐 세계 각국이 R&D 측면에서 얼마나 진척을 이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이뤄졌다. 국제적으로 권위를 인정받는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논문을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삼았다.

그 결과 중국이 이 44개 분야 가운데 무려 37개 분야에서 미국을 앞서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R&D 실적을 기준으로 비교한 결과 첨단기술 경쟁에서 미국이 중국에 턱없이 밀리고 있다는 뜻이다.

중국이 미국을 제친 분야에는 국방, 우주과학, 로봇, 에너지, 환경, 생명공학, 인공지능(AI), 첨단소재, 양자공학, 전기 배터리, 극초음속, 5세대(5G) 및 6세대(6G) 이동통신을 비롯한 최첨단 무선통신 기술 등 주요 첨단기술 분야가 대부분 망라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특히 드론, 머신러닝, 전기 배터리, 핵에너지, 광전 변환 공학, 양자 센서, 필수광물 추출 분야에서 월등히 앞서 있는 나타났다.

미국이 중국을 앞서고 있는 분야는 백신, 양자컴퓨팅, 우주발사체, 소형 위성 등 7개 분야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미국 제치고 글로벌 첨단기술 메카로 부상


ASPI는 “이번 조사 결과는 중국이 미국을 크게 따돌리고 글로벌 첨단기술 경쟁에서 압도적으로 앞서고 있는 글로벌 첨단과학‧기술 메카로 부상했음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ASPI는 “일부 분야의 경우 전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 연구기관 10곳이 전부 중국에 속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을뿐 아니라 국제 학술지 게재 연구논문의 인용건수를 파악한 결과 중국이 미국보다 9배나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중국이 첨단기술 연구 경쟁에서 양적으로도 미국을 제쳤을뿐 아니라 내용적으로도 미국을 압도하고 있다는 뜻이다.

ASPI는 특히 중국이 지난 2021년 발사에 성공한 것으로 뒤늦게 알려진 극초음속 미사일과 관련해서도 “국제 학술지에 게재된 관련 연구논문 가운데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의 약 50%가 중국과 관련이 있다는 점을 미국 정부가 미리 파악했더라면 놀라움을 표시할 일이 없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ASPI “서방국간 첨단기술 공유 확대 필요”


한편, 보고서는 중국과 미국 다음으로 앞서 있는 나라는 영국과 인도인 것으로 나타났고 한국과 독일도 세계적으로 상위권에 속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다만 ASPI는 이들 2등 그룹에 속한 나라들과 중국의 격차는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ASPI는 미국을 비롯한 서방국가의 R&D 노력이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R&D 투자 규모를 국민총소득(GNI)의 0.5~0.7%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방안 △R&D 투자 전담 국부펀드의 신설 △기술창업 비자제도 도입을 비롯한 국가간 첨단기술 공유 확대 모색 등을 권고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