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특파원 시선] 美 출산율 '깜짝 반등'...재택 근무로 여성 육아 부담 덜었다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0

[특파원 시선] 美 출산율 '깜짝 반등'...재택 근무로 여성 육아 부담 덜었다

2021년 첫 출산율 반등이어 2022년에도 상승 예상…신생아 숫자 증가는 2008년 이후 처음

미국의 한 재택 근무 여성.  사진=TOT이미지 확대보기
미국의 한 재택 근무 여성. 사진=TOT
미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당시에 출산율이 ‘반짝’ 증가한 것은 재택근무 확산에 따른 여성의 육아 부담 경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연구 기관인 ‘인구정보가정조사’(DIFS)가 최근 3000여명의 미국 여성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재택근무 여성이 대면 근무 여성과 비교하면 임신과 출산 계획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미국의 언론 매체 ‘애틀란틱’(Atlantic)이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번 조사에는 특히 재택근무 여성의 경우 부유할수록, 나이가 많을수록,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임신과 출산 계획 비율이 올라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택근무 여성은 대면 근무 여성 근로자보다 향후 1년 이내에 결혼 계획을 세운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애틀란틱은 재택근무를 포함한 원격 근무 여성은 반드시 직장 근처에 거주할 필요가 없어 가정을 꾸리고, 임신과 출산을 하기가 대면 근무 여성보다 훨씬 더 쉽다고 지적했다. 원격 근무 여성은 배우자 또는 이성 친구와 직장 출근을 위해 따로 거주할 이유가 없어 출산과 육아가 상대적으로 유리하다고 이 매체가 전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특히 재택근무 여성 중에서 상대적으로 나이가 많은 사람들이 첫 출산 이후에 둘째와 셋째 자녀를 낳으려는 계획을 세운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이 나이가 많아도 재택근무로 육아와 직장 생활을 병행하기가 쉬울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이 매체가 지적했다.

미국은 팬데믹 이후에 다른 나라에 비해 재택근무 비율이 월등하게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최근 부동산 서비스업체 JLL 자료를 인용해 미국의 사무실 출근 비율이 팬데믹 이전의 40∼60%라고 보도했다. 유럽이나 아시아 지역의 사무실 출근 비율은 팬데믹 이전의 70~90% 수준이라고 WSJ이 지적했다. JLL에 따르면 아시아의 사무실 점유율은 팬데믹 이전의 80∼110%로, 일부 도시에서는 팬데믹 이전보다 오히려 더 많은 근로자가 출근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뉴욕 타임스(NYT)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국 2021년 합계 출산율(가임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아이 숫자)이 2020년보다 상승한 나라가 27개국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국은 7년 만에 출산율이 올랐고, 독일은 코로나19 전보다 더 높은 출산율을 기록했다. 한국은 팬데믹 이후에도 계속 출산율이 떨어져 지난해 출산율이 0.78명으로 급락했다. 일본과 중국·대만에서도 출산율 반등은 없었다.

OECD 등에 따르면 2019년 OECD 38개 회원국 평균 합계 출산율은 1.61명이었다. 코로나19 유행 첫해인 2020년에는 1.59명으로 더 떨어졌다2021년 출산율은 1.67명으로 반등했다.

미국의 신생아 수는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줄곧 내림세였다. 2014년 399만 명을 기록한 이후 2019년까지 연평균 1~2%씩 감소했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에도 전년보다 13만 명 줄어 4% 감소했다. 러다가 2021년에 반전이 일어났다. 2021년에 신생아 수는 366만 4292명으로 2020년(361만명)보다 5만 명가량 증가했고, 출산율도 1.66명으로 전년보다 0.02명 늘었다. 미국에서 2014년 이후 7년 만에 출산율이 올라간 것이다. 지난 2022년 미국 합계 출산율이 1.7~1.8명으로 2021년보다 더 높아졌을 것으로 유엔 등 전문 기관이 예측했다.

미국 국립보건통계센터에 따르면 미국의 30~34세 여성 1000명당 신생아 수는 2020년 94.9명에서 2021년 97.3명으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35~39세 여성 1000명당 신생아 수도 51.8명에서 54.2명으로 늘었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