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3월민간고용 증가폭이 크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나면서 경기침체 우려가 높아졌다. 다른 한편에서는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면서 뉴욕 주식 시장이 흔들렸다.
다우존스 산업평균 지수는 상승세로 마감했고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하락세로 장을 마쳤다. 다우지수는 전일 대비 0.24% 올랐고, S&P500지수는 10.25% 하락했으며 나스닥지수는 1.07% 떨어졌다.
6일 아시아 시장인 한국 시간 오전 7시 49분 현재 암호화폐 가격 추적사이트 코인마켓캡 데이터에 따르면 비트코인(BTC)은 24시간 전 대비 0.06% 하락해 2만8176.79달러에 거래됐다. 비트코인은 장중 한때 최고 2만8739달러를 찍은 뒤 등락을 거듭해 최저 2만7843달러까지 떨어졌다.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전일 대비 0.34% 증가해 1조1900억달러를 기록했다.
비트코인 시가총액은 5448억달러였고, 시장 지배력은 45.6%로 전일 대비 0.3% 포인트 줄었다.
그러나 같은 시간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에서 비트코인은 0.11% 상승해 3724만6000원에 거래 중이었다.

두 번째로 큰 암호화폐 이더리움(ETH)은 2.24% 상승해 1908.39달러에 거래됐다. 이더리움은 장중 한때 최저 1860달러, 최고 1937달러를 기록했다. 이더리움이 1937달러까지 올라간 것은 지난해 8월 19일 이후 처음이다. 오는 12일 샤펠라 하드포크를 앞둔 이더리움은 연일 최고치를 갈아치우고 있다. 이더리움 주간 상승률은 6.61%에 달했다.
이더리움 시가총액은 2298억달러였고, 시장 지배력은 19.3%로 전일 대비 0.4% 포인트 증가했다.
업비트에서 이더리움은 1.98% 올라 252만원에 거래 중이었다.
시총 4위 바이낸스 코인(BNB)은 1.17% 오른 314.62달러였다.
업비트에서는 BNB 코인의 원화 거래가 지원되지 않는다.
시총 6위 리플(XRP)은 0.69% 상승해 0.5087달러였다. 리플 주간 상승률은 마이너스6.91%다.
업비트에서 리플은 2.21% 뛰어 671원이었다.
시총 7위 카르다노(ADA, 에이다)는 0.25% 오른 0.3927달러였다.
업비트에서 카르다노의 에이다 토큰은 0.97% 올라 519원이었다.
시총 8위 도지코인(DOGE)은 2.80% 하락해 0.09334달러에 거래됐다. 도지코인 주간 상승률은 23.38%에 달했다.
업비트에서 도지코인은 1.60% 떨어져 123원이었다.
시총 9위 폴리곤(MATIC)은 0.30% 내려 1.14달러였다.
업비트에서 폴리곤은 가격 변동 없이 1505원이었다.
시총 10위 솔라나(SOL)는 0.32% 내린 20.88달러에 거래됐다.
업비트에서 솔라나는 0.14% 소폭 하락해 2만7580원에 거래 중이었다.

김성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de.kim@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