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중국, 청년실업률 발표 중단…사상 최고치 기록

글로벌이코노믹

중국, 청년실업률 발표 중단…사상 최고치 기록

중국이 최악의 경제난을 겪으면서 청년실업률 수치를 더 이상 발표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중국이 최악의 경제난을 겪으면서 청년실업률 수치를 더 이상 발표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사진=로이터
중국이 최악의 경제난을 겪으면서 청년실업률 수치를 더 이상 발표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15일 산업생산, 소매판매 등 7월 경제지표를 발표하며 매월 함께 공개하던 청년실업률 통계 발표를 진행하지 않았다. 국가통계국에서 매월 전국 도시실업률, 16∼24세 실업률, 25∼59세 연령대별 실업률을 공개해 왔다.

이에 대해 푸링후이(付凌暉) 국가통계국 대변인은 브리핑서 “8월부터 청년실업률 등 연령대별 실업률 조사 발표를 중단한다”며 “경제적, 사회적 발전으로 인해서 노동 통계를 좀 더 최적화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

이어서 그는 “최근 들어 도시 청년 중 재학생 규모가 계속 확대되고 있으며, 졸업 전에 일자리를 찾는 학생이 노동 통계에 포함돼야 하는가에 대해서 여러 견해들이 있으므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한 것이 사실”이라며 “교육 수준 향상, 청년들의 재학 기간 증가에 따라 노동 통계상 청년의 연령 범위에 대한 추가 연구도 필요한 상황”이라고 부연했다.
사회 변화에 따른 통계 기준 조정 필요성이 강조된다는 통계국의 해명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청년실업률 미공개는 사실상 사상 최고치로 치솟은 청년실업률을 은폐하기 위함으로 풀이되고 있다.

중국의 16∼24세 청년실업률은 지난 3월 19.6%를 기록한 이후 4월부터 3개월 연속 20%를 넘어서며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바 있다. 마지막 발표된 6월 청년실업률은 전달(20.8%)보다도 0.5%포인트 높아진 21.3%를 기록했다.

여기에 더해서 중국의 졸업 시즌인 7∼8월에 사상 최대 규모인 1158만명이라는 대학 졸업자가 구직 시장에 쏟아짐으로 인해서 청년실업률이 급격하게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있었다.

이렇게 중국의 청년실업률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이유는 중국 전반을 감싸고 있는 경기부진과 디폴트 문제 때문이다. 특히 중국 경제 전반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는 중국 부동산이 심각한 부진을 겪고 있어 청년실업율도 크게 증가하고 있는 분위기다.

15일 통계국을 통해 발표된 수치에서 내수 경기를 반영하는 소매판매는 7월에 전년 동월 대비 2.5% 증가하는데 그쳤으며, 제조업 경기 동향을 보여주는 산업생산 증가율도 3.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냈다. 7월 소매판매와 산업생산 증가율은 모두 전달(소매판매 3.1%·산업생산 4.4%)보다 낮아진 것이며, 로이터통신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소매판매 4.5%·산업생산 4.4%)를 크게 밑도는 수치다. 이는 생산과 소비 모두 예상보다 회복이 부진한 상황임을 보여준다.

한편 경기 침체에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단기 정책금리를 전격 인하했다. 인민은행은 이날 단기 정책금리인 7일물 역환매조건부채권(역레포) 금리를 1.8%로 0.1%포인트 낮추고, 1년 만기 중기 유동성지원창구(MLF) 금리를 2.5%로 0.15%포인트 인하한다고 밝혔다. MLF 대출은 중앙은행이 시중 은행에 자금을 빌려주는 유동성 조절 도구이며, MLF 금리는 기준금리의 가늠자가 된다. 정책금리 인하에 따라 시장에 유입되는 유동성 규모는 6050억위안(약 111조원)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용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scrait@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