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노소영, 최태원 재산분할 현금으로 요구한 이유...SK(주) 가치 하락 탓?

공유
2

노소영, 최태원 재산분할 현금으로 요구한 이유...SK(주) 가치 하락 탓?

'성장 동력' SK스퀘어, 자회사 실적 부진...그룹 가치 제고 '오리무중'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이 이혼 재산분할을 주식이 아닌 현금으로 변경 요구한 것으로 보인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보유한 SK㈜ 지분 가치 하락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SK㈜ 주가가 단기 내 상승이 어렵다는 점도 배제할 수 없는 요인이다. 노 관장의 선택은 SK그룹 체질 개선 실패를 또 한번 확인하는 사례가 된 것이다.

14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고법 가사2부(부장 김시철·강상욱·이동현)는 지난 8일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의 이혼 소송 인지액을 47억여원으로 높였다. 1심 인지액은 34억여원이었다.
인지액을 역산하면 총 청구액은 2조30억원 규모다. 지난해 3월 노 소장이 최 회장의 동거인 김희영 티앤씨재단 이사장을 상대로 낸 30억원 위자료 소송을 고려하면 재산분할 규모는 2조원으로 분석된다.

노 관장은 1심에서 위자료 3억원과 최 회장이 보유한 SK㈜ 주식의 50% 등 재산분할을 요구했다. 그러나 1심은 SK㈜ 주식에 대해 노 관장이 형성과 유지, 가치 상승에 실질적으로 기여했다고 볼 수 없다는 취지로 재산분할 대상에서 제외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보유한 지분. 2022년 말 대비 주가가 하락한 종목은 SK(주)와 SK케미칼 우선주지만 SK(주) 지분 가치가 자산 대부분을 형성하고 있어 전체 자산 규모가 축소됐다. 출처=딥서치이미지 확대보기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보유한 지분. 2022년 말 대비 주가가 하락한 종목은 SK(주)와 SK케미칼 우선주지만 SK(주) 지분 가치가 자산 대부분을 형성하고 있어 전체 자산 규모가 축소됐다. 출처=딥서치

노 관장은 2심에서 SK㈜ 주식보다는 현금으로 바꾸고 위자료 요구액도 증액한 것으로 보인다. 1심 선고 당시인 2022년 12월 SK㈜ 주가는 20만원대에서 거래됐으나 현재는 16만원대로 하락했다. 총 지분 가치도 2조6000억원대에서 2조1000억원대로 하락했다.

SK㈜ 주식이 재산분할 대상이 아니라는 1심 판단도 있지만 일각에서는 노 관장이 SK㈜ 가치 하락으로 변동성이 높은 주식보다 고정된 액수의 현금을 선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인공지능(AI) 데이터 플랫폼 딥서치에 따르면 최 회장이 보유한 주식은 SK㈜를 비롯해 SK텔레콤(303주), SK스퀘어(196주), SK디스커버리(2만1816주, 0.11%), SK디스커버리우(4만2200주, 3.11%), SK케미칼우(6만7971주, 3.21%)다.

지난해 말과 비교해 주가가 하락한 종목은 SK㈜와 SK케미칼우다. 압도적으로 비중이 높은 SK㈜ 주가 하락이 최 회장 자산 규모 축소에 영향을 미친 셈이다.

단기 내 SK㈜ 주가가 상승하기 어렵다는 시각도 있다. 신성장 동력 육성 차원에서 SK텔레콤으로부터 인적 분할된 SK스퀘어는 11번가 등 주력 자회사 매각을 추진 중이다. 분할 후 '2025년 순자산 가치 75조원' 목표를 내걸었지만 여타 자회사들도 기업공개(IPO) 추진이 보류되는 등 난항을 겪고 있다. 또 다른 주력 자회사인 SK이노베이션은 유가 등락에 민감하다. 지난해 하반기 이후 유가가 안정되면서 SK이노베이션 주가도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다만 SK텔레콤은 통신업을 넘어 AI 부문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고 있다. 최근 AI를 활용해 아이폰 통화녹음, 통역콜 등 기능을 출시하기도 했다. 또 반도체 업황이 살아나며 그룹 주력 계열사인 SK하이닉스의 성장과 함께 SK스퀘어의 순자산가치(NAV)도 회복할 가능성이 있다.

한 증권사 연구원은 "SK㈜ 자회사 중에서 성장동력은 SK스퀘어인데 분할 전 야심 찬 계획들이 뜻대로 성사되지 않고 있다"며 "법원이 최 회장이 보유한 SK㈜ 주식은 재산분할 대상이 아니라고 했지만, 관련 소송도 주가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SK그룹 전문경영인 부회장단이 모두 2선으로 물러난 것도 그룹 체질 개선 실패를 인정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성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lsk1106@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