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대해 정부는 즉각 불법행위라며 조사에 나설 것이라고 으름장을 놓았고, 의협은 단순 일탈이지만 해당 의사에 대한 징계 수순을 밟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영업사원들은 각 지역별, 병원별 실적을 올리기 위해서는 자사 제품을 많이 팔아야 한다. 의약품을 많이 팔려면 처방을 많이 받아야 하는데 처방 권한은 의사에게 있다. 즉 영업사원들 입장에서는 이 같은 협박을 피할 수 없다.
제약사들이 판매하는 약품의 가격은 보험에 등재돼야 하는데 이는 정부에서 결정한다. 등재되지 않을 경우 제약사가 직접 약가를 정할 수 있지만 높은 가격 때문에 처방률이 떨어지게 된다. 이에 약가를 결정하는 정부의 심기를 살펴야 하는 것이다.
이 같은 이유에서 제약사들은 지금과 비슷한 논란이 발생했을 때 지지 여부 등 명확하고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사실상 양측의 눈치를 봐야 하는 제약사는 아무리 의사 측이 사과했다 하더라도 일부 몰상식한 의사들이 개별적으로 요청하면 '울며 겨자 먹기'식으로 참가할 가능성이 높았다.
만약 정부가 조사 과정에서 일부 영업사원의 부적절한 행위가 발견된다면 제약사에까지 불똥이 튈 수 있다는 데 부담감을 느끼는 것이다. 불가피하게 양쪽에 꽉 끼인 상황이어서 제약사로서는 사실상 현실적으로 해결할 방법이 없다.
의협에서는 확실한 후행 조치와 추가 약속을 통해 향후 억울한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심스러운 조치를 당부한다. 해당 제약사와 특정 직원을 무조건 질타만 할 것이 아니라 당면한 사정을 이해해 주는 게 우선이다. 현실 개선 없이 정부의 페널티만으로는 근본적 대안을 마련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