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박정원‧정기선‧김동관, '육-해-공 엔진 시장' 본격 3파전

글로벌이코노믹

산업

공유
1

박정원‧정기선‧김동관, '육-해-공 엔진 시장' 본격 3파전

HD현대 육상‧해상, 한화 항공‧해상에, 두산 항공엔진 참여
육해공 엔진 메이커 성장 위해 추가 투자‧M&A 필요성 대두
장기 육성 위해 3사 오너가 직접 책임지고 사업 추진 의지

(왼쪽부터) 박지원 두산에너빌리티 회장, 정기선 HD현대 부회장, 김동관 한화 부회장. 사진=각사이미지 확대보기
(왼쪽부터) 박지원 두산에너빌리티 회장, 정기선 HD현대 부회장, 김동관 한화 부회장. 사진=각사
중공업계의 대표 기업인 HD현대와 한화, 두산이 육해공 운송수단의 심장인 ‘엔진’ 개발 경쟁에 뛰어들었다.

현대자동차가 자동차 산업에서 글로벌 톱3 기업으로 성장한 배경이 내연기관 엔진 개발 성공에서 비롯됐듯, 조선산업이 세계 1위로 올라선 것은 선박 엔진의 국산화 덕분이었고, 건설기계장비를 포함해 방산 산업이 도약하는 데에도 엔진 자립이 일조했다. 이를 바탕으로 3개 기업은 육상‧해상에 이어 항공엔진 시장에 도전장을 냈는데, 두산의 참여로 3파전 구도가 완성됐다. 박지원 두산중공업 회장과 정기선 HD현대 부회장, 김동건 한화 부회장 등 오너 3~4세가 사업을 주도한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중공업 부문 엔진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은 HD현대다. HD현대중공업은 선박 건조량 세계 1위 기업답게 선박 엔진 역시 세계 1위를 유지하고 있다. 독자 개발한 힘센 엔진은 선박용이자 육상 발전용 등 다용도로 활용되고 있는 베스트셀러다. 조선·해양 부문 중간 지주사인 HD한국조선해양을 통해 추진 중인 선박엔진 국내 3위 업체인 STX중공업 인수를 마무리하면 시장 지배력은 한층 강화할 전망이다.

계열사인 건설기계전문업체인 HD현대인프라코어는 굴착기 등 건설 기계를 비롯해 버스와 K2 전차 등 방산 장비용 엔진에 소형 선박용, 발전기용, 산업용 엔진을 생산하고 있다. 이 가운데 방산용 엔진의 경우 HD현대중공업도 함정용 엔진을 생산한다. 최근 K-방산의 수출이 확대되면서 HD현대는 엔진 공급을 통해 그 덕을 톡톡히 보고 있다
한화는 선박 엔진 2위 기업인 HSD엔진을 인수해 사명을 한화엔진으르 변경했다. 이를 통해 한화는 두 가지 성과를 거뒀다. 첫째는 한화오션과 함께 조선산업 수직계열화를 이뤄내 HD한국조선해양과의 경쟁구조를 강화할 수 있게 됐다. 또한 함정 등 방산 부문에서도 HD현대 또는 STX엔진 의존도를 낮출 수 있게 되었다.

둘째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 중심으로 하는 기존 항공우주용 엔진 사업에 선박 엔진을 더해 관련 사업의 시너지를 높일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엔진 사업의 규모와 점유율을 키워 종합적인 경쟁력을 키우겠다는 계획이 반영됐다.

이와 함께 두산은 주력 계열사인 두산에너빌리티가 정관상 사업 목적에 ‘항공기 엔진 제작, 추진체 보조기 부품 제작, 정비와 판매 및 서비스업’을 추가하고 발전용 가스터빈 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항공용 엔진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서기로 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특히 항공기, 특히 무인기 엔진 개발을 가속할 계획이다. 두산에너빌리티가 개발에 성공한 발전용 가스터빈과 항공용 엔진은 기술 기반이 같고, 구조와 작동 원리도 유사하다. 비행체의 추력(물체를 운동 방향으로 밀어내는 힘) 확보를 목적으로 하는 항공용 가스터빈의 핵심 요소는 고출력, 경량화, 작동 유연성이다. 발전용 가스터빈은 고효율, 고출력, 안정성이 요구되고 항공용에 비해 크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위에서 살펴본 대로 3개 그룹의 엔진 사업은 서로가 물고 물리는 구도를 그리고 있다. 즉, HD현대는 육상과 해상. 한화는 우주항공과 해상, 두산은 항공 등에서 강점을 취하려고 하고 있다. 육해공을 아우르는 종합 엔진 기업으로 자리매김하려면 이는 사업을 추가로 확대하기 위해 투자를 추가하거나 관련 기업을 인수‧합병(M&A) 해야 한다.

자동차 등 육상 운송수단에 비해 선박 등 해상과 항공기 등 항공 운송수단은 기술적인 한계로 아직 내연기관 엔진이 주도하고 있다. 이러다 보니 미국과 영국, 독일 등이 선진 국가 기업들의 지배력이 여전히 높다. 이에 따라 국내 3사는 석유를 대체하는 액화천연가스(LNG) 등 친환경 연료 엔진에 집중해 비교 우위의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나아가 연료전지를 통한 전동화를 실현해 시장과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꾸겠다는 전략을 구상하고 있다.

산업계 관계자는 “엔진 사업은 장기간 투자와 인재 확보를 통해 기술을 확보하는 게 성공의 관건인 만큼 최고경영자(CEO)의 확고한 의지가 수반되어야 한다”라면서, “박 회장과 정 부회장, 김 부회장이 차세대 미래 사업 가운데 엔진을 선정함에 따라, HD현대와 한화, 두산이 상당한 추진력을 얻었다”라고 평가했다.


채명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oricm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