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업계에 따르면 일본의 라인야후 사태를 둘러싼 혐한 분위기가 점차 고조되는 모습이다. 일본 언론 및 SNS 등지에서 일본 누리꾼들의 도를 넘은 발언들이 이어지고 있다. 개인정보 유출 건에 대한 일본 정부의 행정지도가 두 차례나 있었던 것에 자국 언론조차 '이례적인 조치'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으나, 일본의 온라인 민심은 한국을 향한 적대적인 태도를 고스란히 내보이고 있다.
최근 일본 국회의원의 명의를 도용해 휴대폰 개통을 시도한 'SIM 하이재킹' 사건에 대해서도 한국과 엮는 분위기다. 해당 사건은 소프트뱅크의 유통점이 마이넘버카드(신분증) 확인 절차를 제대로 밟지 않은 데서 시작했으나, 일본 누리꾼들은 마이넘버카드 제도를 적극적으로 확대 도입하려는 고노 다로 디지털 대신이 대표적인 친한파 의원이라는 점에 초점을 맞췄다.
아울러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재일교포 2세라는 점을 들어 "두 사람은 일본을 파괴하려는 것인가"라는 생트집을 잡고 있는 모습. 업계 관계자들이 라인야후 사태가 자칫 혐한·반한 정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현실화된 것이다.
지난 3일 열린 '한일 전략 포럼'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용선 의원 역시 "사이버 공격으로 인한 문제로 지배구조 변경까지 강제하는 것은 맞지 않는다"면서 "한·일 관계가 쉽게 발화할 수 있는 취약한 상황에서 새로운 이슈가 발생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우려한 바 있다.
이번 '라인야후 사태는' 외부적으로는 미국이 국민의 정보 유출을 빌미로 중국의 바이트댄스가 운영하는 틱톡을 금지시킨 것과 유사하나, 실상은 일본 정부가 '개인정보 유출'을 앞세워 네이버의 지분을 줄이는 것이 목적이라는 게 지배적인 시선이다. 네이버의 영향력을 약화시키고 최종적으로는 라인을 일본 기업으로 종속시키고자 하는 노골적인 조치라는 분석이다.
한편, 라인은 일본에서 '국민 메신저'로 불릴 정도로 높은 사용률을 기록 중이다. 국내에서 메신저 앱으로 카카오톡이 널리 활용되고 있듯, 일본에서는 정부·지자체 등 공공기관에서부터 라인을 업무용으로 적극 이용 중이다. 올해 1분기를 기준으로 일본에서는 94%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약 9500만 명에 달하는 숫자다. 2024년 기준 일본의 인구는 1억2263만 명에 이른다.
편슬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yeonhaeyo@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