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美·中, 미국 자동차 시장 놓고 한판 대결 불가피...바이든의 고율 관세는 '시간벌기' 전략

공유
0

[초점] 美·中, 미국 자동차 시장 놓고 한판 대결 불가피...바이든의 고율 관세는 '시간벌기' 전략

양국 자동차업체 정반대 전략 동원, 美 내수 中 수출 초점

지난 14일(현지시각) 멕시코 멕시코시티에서 열린 행사에서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 BYD가 출시한 '샤크'.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14일(현지시각) 멕시코 멕시코시티에서 열린 행사에서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 BYD가 출시한 '샤크'. 사진=로이터
미국과 중국의 자동차 제조업계가 정반대 전략을 동원하고 있다. 워싱턴포스트(WP)는 18일(현지시간) GM, 포드, 스텔란티스 등 미국의 빅3는 주로 미국 국내 시장을 겨냥하고 있으나 중국 비야디(BYD) 등은 강력한 수출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고 보도했다. 특히 미국의 자동차 제조업체가 철수한 해외 시장을 중국 업체가 점령해 가고 있다고 WP가 전했다.

미국의 중국에 대한 자동차 수출이 시들해졌다. 미국 업체들은 또 한때 전망이 좋았던 인도, 인도네시아, 태국에 대한 수출이 급격히 줄어들면서 미국 국내 시장 판매 쪽으로 방향 전환을 했다고 이 매체가 강조했다.
그렇지만, 미국과 중국은 머지않아 미국 자동차 시장을 놓고 쟁탈전을 벌일 것이라고 WP가 지적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중국산 저가 전기차의 미국 시장 유입을 막으려고 고율의 관세 폭탄을 투하하기로 했다. 미국 정부는 중국의 과잉생산과 불공정한 무역 관행을 구실 삼아 전기차의 관세율을 25%에서 100%로 4배 올리기로 했다.

바이든 정부가 중국과 무역 전쟁을 하는 것은 미국 자동차 업체들에 시간을 벌어주려는 전략이라고 전문가들이 지적했다. 그렇지만, 포드와 GM 등이 수익성을 고려해 미국에서 픽업트럭이나 SUV 집중 판매 전략을 고수하면 세계 시장 점유율이 급감할 수 있다.

미국 최대 자동차 제조업체인 GM은 2015년부터 줄곧 해외 현지 공장을 폐쇄하고 있다. GM은 2015년에 인도네시아에서 철수했고, 2017년에는 유럽, 인도, 남아공 등에서 현지 공장의 문을 닫았다.

GM은 2010년부터 2022년 사이에 미국에서보다 중국에서 더 많은 자동차를 판매했다. 그러나 중국인들이 이제 중국산 자동차를 찾는다. 중국에서 자국 자동차 브랜드 판매가 2019년에는 36%였으나 지난해에는 50%가 넘었다.

GM이 지난해에 중국에서 판매한 자동차가 2017년의 절반 수준으로 내려갔다. GM은 올해 1분기에 중국 시장에서 1억 600만 달러 적자를 냈다.

포드의 중국 내 자동차 판매도 지난해에 2년 전에 비해 28%가 감소했다. 포드의 중국 자동차 시장 점유율은 2% 미만이다. 포드는 2018년부터 2022년 사이에 중국 시장에서 37억 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다.
전기차 업체 테슬라도 중국에서 갈수록 설 땅을 잃어가고 있다고 WP가 전했다. 테슬라의 중국 자동차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10.5%에서 올해 1분기에 6.7%로 줄었다.

웰스 파고 은행 분석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해에 일본, 독일을 제치고 세계 1위 자동차 수출국 자리에 올랐다. 중국의 해외 자동차 판매량이 지난해에 처음으로 500만 대를 넘었다.

지난 5년 사이에 주요 국가 자동차 시장에서 중국의 점유율이 크게 올라가고 있다. 태국에서는 3%에서 10%로, 호주에서는 1%에서 9%로, 멕시코에서는 0%에서 13%로 뛰었다.

지난해 중국 전기차 수출 대수는 전년 대비 77.6% 급증한 120만 3000대를 기록했다. 올해도 4월까지 중국 전기차 수출 대수는 42만 대를 기록했다. 올해 1~4월 중국 자동차 수출 1위는 저가 승용차를 주로 수출하는 체리자동차(34만 2000년대)가 차지했다. 2위는 상하이자동차(28만 9000대), 3위는 창안자동차(19만 2000대), 4위는 지리자동차(15만 4000대) 순이다. BYD는 작년 동기 대비 140% 급증한 14만대를 수출하며 5위를 기록했다. 전기차 수출만 보면 BYD가 1위다. BYD는 지난 4월에도 4만 1011대를 수출하며 테슬라차이나(3만 746대), 상하이승용차(6048대)를 앞섰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