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역대 가장 더운 여름?...유럽, 폭염 공포에 휩싸이다

공유
0

역대 가장 더운 여름?...유럽, 폭염 공포에 휩싸이다

일부 지역에서는 계절 평균 기온보다 10℃ 이상 높아
북대서양 해수면 온도 40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

미국 위스콘신주 밀워키에서 자전거 도로 차량의 범프 아웃과 관련된 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한 노동자가 덥고 습한 날 땀을 닦아내고 있다. 사진=로이터
미국 위스콘신주 밀워키에서 자전거 도로 차량의 범프 아웃과 관련된 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한 노동자가 덥고 습한 날 땀을 닦아내고 있다. 사진=로이터
그리스, 키프로스, 튀르키예, 이탈리아는 이미 극심한 폭염을 겪었고, 일부 지역에서는 계절 평균 기온보다 10℃ 이상 높은 기온을 기록했다고 유로뉴스가 18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파리 올림픽 주최측은 선수들의 안전을 위해 폭염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으며, 스페인은 새로운 폭염 예측 지도를 공개하는 등 맹렬한 여름을 대비하고 있다. 유럽 전역의 도시들은 폭염 적응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미 11개월 연속 기록적인 더위가 이어졌고, 북대서양 해수면 온도는 최소 40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전문가들은 유럽이 또 다른 비정상적으로 더운 여름, 심지어 역사상 가장 더운 여름을 맞이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올 여름 유럽은 얼마나 더울까?


폭염이나 개별적인 극단적인 날씨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과거의 날씨 데이터는 예보관들에게 단서를 제공한다. 웨더앤드레이더(Weather & Radar)의 기상학자 탐신 그린(Tamsin Green)은 "몇 주, 때로는 며칠 앞을 내다보는 것도 어려운데, 몇 달 후의 날씨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엄청나게 어렵다"고 말했다.

현재 6월, 7월, 8월은 모두 평균 기온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유럽 전역의 날씨는 다양하기 때문에 '뜨거운 여름'이 어디에서 닥칠지 예측하기 어렵다. 그린은 남부 및 동부 유럽에 핫스팟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서유럽은 6월에 평균 강수량을 보였고, 7월에는 남부 유럽보다 강수량이 많지만 동쪽은 더 건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8월은 대륙 대부분 지역에서 더 건조하고 안정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는 평균적인 예측일 뿐, 큰 변동이나 극단적인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럽 날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유럽의 변화무쌍한 날씨에는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 현재 세계는 엘니뇨와 라니냐 사이의 과도기 단계에 있으며, 이는 지구 날씨와 기온 패턴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엘니뇨는 평균보다 높은 해수면 온도와 중부 및 동부 열대 태평양의 강수량 증가를 특징으로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그린은 "도미노 효과처럼 한 곳의 날씨가 지구 반대편의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유럽에서는 종종 비와 바람을 가져오는 열대 폭풍의 잔재가 발생한다. 올해 6월부터 11월까지 허리케인 시즌 동안 대서양의 폭풍 활동은 태평양에서 라니냐가 형성되어 그곳의 폭풍우를 억제하면서 더욱 활발해질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유럽, 세계 평균보다 빠르게 온난화


인간이 초래한 기후 변화는 대륙의 점점 더워지는 여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린은 "무시할 수 없는 거대하고 부인할 수 없는 요인 중 하나는 우리가 지속적으로 열 기록을 깨고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세계기상기구(WMO)와 EU 기후청 코페르니쿠스(C3S)의 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유럽은 1991년 이후 세계 평균의 두 배로 따뜻해졌다. 두 기관 모두 유럽이 배출량을 줄이고 화석 연료에서 벗어나기 위해 더 많은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경고하면서 기후 변화의 결과에 있어서 대륙도 예외는 아니다고 강조했다.

대륙의 가장 극심한 폭염 30개 중 23개가 2000년 이후에 발생했으며, 5개는 지난 3년 동안 발생했다. 최근 5년 평균에 따르면 현재 유럽의 기온은 산업화 이전 수준보다 2.3℃ 높은 반면 전 세계 기온은 1.3℃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린은 "2024년이 또 다른 기록적인 해가 될 것이라고 매우 확실하게 믿고 있다. 예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도 불구하고 지구 기온 상승 추세는 부인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이태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jle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