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日 당국 통화 개입, 엔화 약세에 별다른 영향 미치지 못해”

공유
0

“日 당국 통화 개입, 엔화 약세에 별다른 영향 미치지 못해”

일본 엔화 지폐.  사진=로이터/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일본 엔화 지폐.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슈퍼 엔저로 인한 엔캐리 트레이드가 국제적인 주목을 받고 있는 가운데 일본 당국의 통화 개입이 엔저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닛케이아시아는 스미토모 미쓰이 은행의 나야 다쿠미는 지난주 정책회의에서 일본은행의 경계감에 대한 시장의 반응이 "엔화에 대한 매도 압력을 부추기고 있다"고 분석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19일 엔화는 달러 대비 약 158엔까지 약세를 보인 가운데 일본은행은 최소 7월까지 일본 국채 매입을 줄이지 않기로 결정하면서 외환시장은 현재 금리가 5%를 웃도는 미국과의 금리 격차를 주목하고 있다.

엔화 매도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트레이더들은 현재 지난 4월 29일 기록한 달러 대비 160엔 선 회복 여부를 주시하고 있다.
일본 정부와 일본은행은 4월과 5월에 걸쳐 9조7000억 엔(약 614억 달러)을 외환시장에 개입한 상태다. 그러나 다른 통화에 비해 계속 약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환시장에서 18일 엔화는 스위스 프랑 대비 178엔대를 기록했는데, 이는 1982년 이후 최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난주에는 파운드화 대비 201엔을 기록해 약 16년 만에 최저치를 경신했으며, 뉴질랜드 달러 대비 또한 17년 만에 최저치를 나타냈다. 19일에는 호주 달러 대비 11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유로화도 마찬가지다. 엔화는 일본 당국 개입 이후 잠깐의 유로화 대비 강세를 보였지만, 지난주 167~169엔대를 넘나드는 약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추세는 신흥국 통화로도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엔화는 남아프리카공화국 랜드화 대비 2년 만에 최저치인 약 8엔을 기록했으며, 위안화와 태국 바트 또한 연중 최저 수준 거래를 이어나가고 있다.

전문가들은 저금리로 엔화를 빌려 고수익 통화 자산에 투자하는 엔캐리 트레이딩이 계속 이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아오조라 은행의 모로가 아키라는 "7월 다음 회의까지 통화정책을 긴축하지 않기로 한 일본은행의 결정으로 적어도 다음 달까지는 엔캐리 트레이드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된 상황"이라며 “미국 연방준비제도 역시 적어도 가을까지는 금리인하를 시작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외환시장은 미국 대선 등의 글로벌 정치적 리스크를 주목하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용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scrait@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