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우방국이자 동남아시아 개발도상국인 라오스가 사실상 중국에 접수됐다는 분석이 나와 주목된다.
라오스의 향후 운명이 중국 손에 달린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라오스의 미래가 중국에 좌지우지될 가능성이 큰 이유는 라오스가 중국에 진 천문학적인 규모의 부채 탓이다.
◇ 라오스, 對중국 차관 상환 잇단 유예
중국 입장에서는 중앙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육상 실크로드(일대)와 동남아시아와 유럽, 아프리카를 연결하는 해상 실크로드(일로)를 뜻하는 일대일로 전략의 일환으로 동남아 우방국인 라오스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벌여왔다.
7일(이하 현지시각) 유라시안타임스에 따르면 중국 외교부는 최근 라오스와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배경에 대해 이례적으로 입장을 밝혔다. 상호 호혜적인 차원에서 라오스 같은 개도국을 중국 정부가 지원해왔다는 것.
중국 외교부의 이같은 입장은 블룸버그통신의 관련 보도 직후 나왔다. 블룸버그는 라오스 재정부가 지난달 28일 발표한 보고서를 인용해 “중국에 대한 라오스의 차관 상환액이 지난 2022년 5억700만 달러(약 6992억 원)에서 지난해 9억5000만 달러(약 1조3102억 원)로 배 가까이 급증하면서 라오스 정부가 이 차관 상환액 가운데 6억7000만 달러(약 9241억 원)에 대한 상환 연기를 지난해 중국 정부에 요청했던 것으로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라오스는 이미 지난 2020년에도 중국으로부터 빌린 차관 12억2000만 달러(약 1조6828억 원)에 대해서도 상환을 유예한 바 있는데 여기에다 7억 달러에 육박하는 빚의 상환을 추가로 연기해줄 것을 중국에 요청했다는 얘기다. 추가 상환 연기 문제에 대한 협의가 양국 사이에 현재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 라오스 대외차관 규모, GDP의 108%
라오스 입장에서 이 문제에 국가의 운명이 달렸다 표현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심각한 이유는 블룸버그에 따르면 라오스가 중국에서 대부분 빌린 대외 차관의 규모는 무려 라오스 국내총생산(GDP)의 108%에 달하는 138억 달러(약 19조384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어서다.
여기에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달러화 대비 라오스 낍화의 가치도 지난해 31%나 떨어지는 등 역대급으로 폭락세를 이어가면서 라오스 정부에 이중고를 안겨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오스가 중국에서 빌린 차관의 59%가 미국 달러이기 때문이다.
그 결과 중국이 지난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상환 유예 조치를 해줬음에도 라오스가 중국에 돌려줘야 하는 원금과 이자를 합한 연간 상환금은 지난해 기준으로 GDP의 5%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 라오스, 상환할 능력 없는 차관 빌려 사실상 중국 속국 신세
유라시아타임스는 “중국 외교부는 라오스가 차관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정을 감안하겠다고 밝혔고 이는 사실인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그러나 이는 중국이 야심차게 추진 중인 일대일로 전략이 라오스에서 성공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것과 관련이 크다는 지적”이라고 전했다.
제 때 차관을 돌려받는 것이 중요한 일이 아니라 중국의 글로벌 패권 전략의 일환인 일대일로 프로젝트의 성공 사례를 라오스의 경우처럼 늘려가는 것이 중국 입장에서는 더 중요하다는 얘기다.
유라시아타임스는 “중국은 지원으로 라오스에 깐 철도 노선을 태국과 연결하는데 이어 궁극적으로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까지 닿게 한다는 전략”이라며 이같이 보도했다.
라오스가 현실적으로 대중국 차관을 가까운 미래에 해결할 능력이 없고 중국은 자국의 이익을 위해 라오스에 대한 지원을 이어가겠다는 태도를 분명히 하고 있는 상황에서 라오스가 중국의 사실상 속국이 된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rP일대일로 전문가인 미국 윌리엄앤드메리대학 산하 에이드데이터연구소의 브래드 파크스 소장은 유라시아타임스와 인터뷰에서 “전세게에서 중국에 대한 차관 규모가 라오스처럼 큰 나라는 전무하다”면서 “라오스 입장에서는 갚을 능력이 없는 돈을 중국에서 빌려 중국 손아귀에 놓인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