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PF 리스크를 적기에 해소하지 않을 경우 저축은행 구조조정 리스크가 재현될 가능성도 있다는 분석이다.
저축은행 연체율은 경기침체 등으로 인한 차주의 채무상환능력이 악화하면서 줄곧 상승세를 보여왔다. 2021년 4분기에 2.50%를 기록한 이후 꾸준히 올라 올해 1분기에만 8%대를 넘어서기도 했다. 다만 지난 3월과 5월에 각각 330억 원, 5100억 원 규모의 저축은행 부동산 PF 정상화 펀드를 조성해 부실채권을 매각하고 부실채권 투자전문회사(F&I)를 통해 지난달 말 1360억 원 규모의 개인 무담보·개인사업자 부실채권도 정리하면서 건전성 개선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저축은행 PF 부실화는 인플레이션과 금리인상에 따른 경기침체와 사업비 부담 가중으로 인해 본PF 전환에 실패하면서 아예 준공조차 시도하지 못한 사례가 대부분이다. 실제 시공비 부담이 큰 지방의 경우, PF사업비가 지난 2020년 말 대비 40%가량 급증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업을 정상화하려면 분양수익을 늘리거나 원가를 낮춰야 하는데, 되레 분양수요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어 쉽지 않다.
특히 초기 건전성이 양호했음에도 불구하고, 대출 만기연장 조치로 인해 즉각적인 대응이 미뤄지면서 부실을 키웠다는 지적도 있다. 금융권 전체 PF 연체율은 2022년 당시 1.2%에 그쳤지만, 만기회수에 차질이 발생한 하반기부터 계속해서 높아져 올해 1분기 3.6%로 악화했다. 전문가들은 만기연장 요건이 강화하고 PF 구조조정이 본격화하면서 하반기 연체율이 더 오를 가능성이 크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김수진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보고서를 통해 “저축은행 위기는 부실을 적기에 해소하지 않을 경우 시간이 경과할수록 PF사업성이 악화할뿐만 아니라 금융회사가 취할 수 있는 대처방안도 축소할 수 있다”면서 “부실PF 정리를 미룰 경우 저축은행 구조조정(PF부실률 57%) 사례가 재현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ong@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