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해리스-트럼프 대결, 경제 정책과 금융 시장에 미칠 파장은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0

[초점] 해리스-트럼프 대결, 경제 정책과 금융 시장에 미칠 파장은

월가, 누가 대선 승리해도 정부와 의회 권력 분점 전망 우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대선 중도 하차로 이번 대선은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왼쪽)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간 대결로 치러질 가능성이 커졌다. 사진=뉴스위크이미지 확대보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대선 중도 하차로 이번 대선은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왼쪽)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간 대결로 치러질 가능성이 커졌다. 사진=뉴스위크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대선 중도 하차를 선언하면서 대선 후보로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을 지지함에 따라 이번 대선은 해리스 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간 대결이 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3개월 반 앞으로 다가온 대선을 앞두고 신속하게 해리스 부통령을 중심으로 결집할 것이라는 게 워싱턴 정가의 대체적인 전망이다.

해리스-트럼프 대결은 미국과 글로벌 금융시장에도 심대한 파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비록 바이든 대통령과 해리스 부통령 간 정책적인 차이가 크지 않지만, 미국 대선 구도의 급변에 따라 금융시장의 불확실성과 변동성이 커졌다는 데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월가의 전문가들은 대통령 선거와 동시에 치러지는 상·하원 의원 선거에 따른 워싱턴의 정국 구도 재편에 깊은 관심을 보인다. 해리스와 트럼프 중 한 사람이 백악관을 차지하면서 자신이 소속된 정당이 상원과 하원의 다수당을 휩쓰는 완승을 거둘 수 있다. 그렇지만 두 사람이 대선 승리에도 불구하고 상·하원 모두 또는 양원 중 한 곳의 다수당 자리를 상대 당에 넘겨줘 행정부와 의회 권력의 분점 구도가 출현할 수 있다.

미 경제 전문지 배런스는 21일(현지시각) 월가의 전문가들이 대체로 오는 11월 5일 선거를 통해 권력 분점이 이뤄질 가능성이 가장 크다고 예상한다고 보도했다. 바이든 대통령이 그동안 수세에 몰린 이유는 민주당이 대선과 상·하원 의원 선거에서 모두 패배하는 시나리오를 우려하는 당내 목소리가 컸기 때문이다. 배런스는 “바이든 대통령에게 실망한 민주당 지지 유권자들이 아예 투표장에 무더기로 나오지 않음으로써 상·하원 선거에서도 모두 패배할 수 있다는 게 민주당 의원들의 우려였다”고 강조했다. 그렇지만 여러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바이든 대통령보다는 상·하원 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들이 더 선전할 것으로 나타났다.
해리스 부통령의 경쟁력에 관해서는 여론조사 결과가 엇갈렸다. 뉴욕타임스와 시에나 대학 조사에서는 해리스 부통령이 트럼프 전 대통령을 꺾을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다른 조사에서는 해리스가 나와도 트럼프를 이길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됐다. 지금까지 여론조사 결과를 종합하면 트럼프와 비교할 때 바이든과 해리스의 대선 경쟁력에 큰 차이가 없을 것으로 전망됐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해리스 부통령이 대선 후보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뤄진 가상 대결 결과다. 그가 민주당 대선 후보 티켓을 거머쥐면 여론 동향이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

이제 해리스 부통령의 출전이 확정되면 고령의 바이든이 싫어 기권하는 민주당 지지자가 줄어들 것이라고 배런스가 지적했다. 이렇게 되면 상·하원 의원 선거전도 그만큼 더 치열해질 수 있다. 배런스는 “트럼프가 승리하고, 공화당이 상원의 다수당을 차지해도, 민주당이 하원의 다수당 자리를 탈환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또 해리스가 대선에서 승리해도 공화당이 상원의 다수당이 될 수 있다고 이 매체가 강조했다.

11월 선거에서 권력 분점이 이뤄지면 어느 당이 백악관을 차지해도 핵심 정책을 일방적으로 밀어붙일 수 없다. 트럼프는 대선에서 승리하면 바이든 정부가 추진해온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폐기하고, 전기차 지원 정책도 중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상원과 하원 중 민주당이 한 곳만 다수당을 차지해도 법안 폐기는 불가능하다.

해리스는 바이든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재생에너지 분야를 지원하고, 마리화나 합법화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때도 공화당이 상원과 하원 중 한 곳에서만 다수당이 되면 그런 입법을 봉쇄할 수 있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