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월가, 美 금리 1년 내 2%p 인하 예상...보스틱 총재 "경기침체 없다"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1

월가, 美 금리 1년 내 2%p 인하 예상...보스틱 총재 "경기침체 없다"

인플레이션 둔화세 유지, 9월 0.5%p 인하 54.5%, 0.25%p 인하 45.5%

미국의 금리 선물투자자들은 13일(현지시각) 내년 상반기까지 미국의 기준금리가 현재에 비해 2%포인트 낮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사진은 뉴욕증권거래소(NYSE). 사진=AP/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미국의 금리 선물투자자들은 13일(현지시각) 내년 상반기까지 미국의 기준금리가 현재에 비해 2%포인트 낮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사진은 뉴욕증권거래소(NYSE). 사진=AP/연합뉴스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둔화하고 있다는 지표가 속속 나옴에 따라 금리 선물 트레이더들이 올해 하반기와 내년 상반기 사이에 기준금리가 현재 5.25~5.5%에서 3.25~3.5%로 2%포인트가량 낮아질 것으로 예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현지시각) 오후 현재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오는 9월 17, 18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5%포인트 낮출 가능성이 54.5%, 0.25%포인트 인하 가능성이 45.5%로 나타났다.
미 경제 전문지 마켓워치는 이날 “트레이더들이 올해 초 경기 둔화 또는 침체 가능성에 따른 여러 차례 금리 인하 예상으로 되돌아갔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이는 인플레이션보다 경기 침체를 더 우려하는 것이고, 정책 결정권자들이 금리 인하가 인플레이션을 다시 자극하지 않는다고 믿을 때 가능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블룸버그는 연준이 9월 회의에서 금리 인하 폭을 통상적인 0.25%포인트로 할지, 아니면 0.5%포인트로 올릴지 치열하게 토론할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경제 전문가들은 연준이 0.5%포인트 인하의 문을 열어놓을 것이라는 점은 분명해 보인다고 말한다고 이 통신이 전했다.
연준에서 통화 긴축을 선호하는 매파로 꼽히는 래피얼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이날 미국의 경기 침체가 임박했다는 것은 과장됐으나 금리 인하 시기가 다가오고 있다고 말했다. 보스틱 총재는 이날 애틀랜타에서 열린 금융 전문가 콘퍼런스에서 “내가 보기에 경기 침체는 없다”며 “경가 둔화하고 고용시장이 우려할 만한 수준으로 악화하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모멘텀이 있다”고 현재의 미국 경제 상황을 평가했다.

보스틱 총재는 “기업 리더들이 대량 해고를 계획하지 않고 있다”면서해고 소식도, 채용 소식도 많이 들리지 않아 모든 것을 유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고용주들은 기존 인력으로 수요를 맞출 수 있다고 생각하며 이러한 상태가 유지되면 우리좋은 위치에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보스틱 총재는 “이제 금리 인하 시점이 다가오고 있고, 우리거기에 도달할 것”이라며 “예상하는 대로 경제가 진행되면 여러분 얼굴에 더 큰 미소가 나타날 것”이라고 낙관론을 개진했다. 그는 다만 “금리 인하에 앞서 조금 더 많은 데이터를 보고 싶었고, 금리 인하를 시작했다가 다시 금리를 인상하면 최악이며 불확실성이 고조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의 7월 생산자물가지수(PPI) 상승률이 전문가 예상치를 밑돌며 둔화했다. 미 노동부는 7월 미국의 생산자물가가 전월 대비 0.1% 상승했다고 13일 밝혔다. 전월 대비 상승률이 6월 당시의 0.2%보다 둔화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로는 2.2% 상승한 것이다.

최종 수요 재화 가격이 전월 대비 0.6% 상승했으나 최종 수요 서비스 가격이 전월 대비 0.2% 하락했다. 서비스 가격이 하락한 것은 작년 12월(-0.1%) 이후 처음이고, 하락 폭은 작년 3월(-0.2%) 이후 가장 컸다.

에너지와 식품 등을 제외한 근원 생산자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3% 상승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3.3% 상승했다.

미국의 생산자물가는 지난 5월 전월 대비 보합에 머물렀고, 6월에도 상승률이 둔화해 인플레이션 둔화세가 이어지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생산자물가는 일정 시차를 두고 최종 소비재 가격에 반영되는 도매 물가로 소비자물가의 선행지표로 여겨진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