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기후변화 새로운 대응 필요하다

글로벌이코노믹

오피니언

공유
1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기후변화 새로운 대응 필요하다

이미지 확대보기
태풍의 에너지원은 수증기다. 태풍은 지구 온난화로 인해 발생한 수증기의 이동 경로이자 방법인 셈이다.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태풍은 7~10월에 발생한다. 기상청에서 1990년 이후 30년간 태풍을 분석한 자료를 보면 연평균 25.1개가 발생해 우리나라에 3-4개가 영향을 줬다. 이 중 절반 정도는 8월 태풍이다.
태풍은 온난화 영향을 받는 수증기이지만 제어할 수 없다. 교토의정서의 이산화탄소·메탄 등 6대 규제 목록에서도 빠진 이유다.

8월 태풍은 폭염을 누그러뜨리는 역할도 한다. 하지만 9호 태풍 '종다리'는 한반도의 불볕더위나 열대야를 해소하기에 부족한 수준이다.
서울의 열대야는 118년 기상관측 사상 최장 기록을 경신하는 중이다. 100GW에 달하는 여름철 전력 수요는 물론 치솟는 채소 가격과 양어장 물고기 폐사 등으로 농어업 산업생태계마저 위협하고 있다.

유례없는 더위는 이른바 ‘히트 인플레이션’을 유발하고 있다.

이상기후는 지난해 우리나라 물가를 10%나 끌어올렸다는 게 한국은행의 분석이다.

2020년 이후 4년간 기후인플레이션 평균치는 8%다. 최근 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서 밝힌 가격을 보면 배추 한 포기에 6888원, 시금치 100g에 3112원, 무 한 개에 3360원이다.

폭우로 일조량이 부족해서 채소 가격이 오른데다 폭염으로 생육이 부진해 출하량이 줄어든 탓이다. 정부는 수급 조절에 손을 놓고 있다. 부족한 농산물을 일시적으로 수입할 엄두조차 못 내는 게 문제다.

추석이 지난해보다 이른 것은 이미 아는 사실이다. 이상기후가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점차 커지고 있다는 것도 모르는 바 아니다. 부족한 수급을 예상하고 미리 해결하는 게 관련 부처의 책무다.

특히 기후인플레이션은 재정이나 통화 정책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게 아니다. 정부 보조금은 중개상과 유통업체 몫이다.

기후변화를 예측하고 소비자의 먹거리 안전을 지키려는 노력을 더 치밀하게 세울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