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코스트코, 금값 사상 최고 행진의 배후?...금괴 판매 연일 매진

글로벌이코노믹

코스트코, 금값 사상 최고 행진의 배후?...금괴 판매 연일 매진

2024년 9월 3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의 건물 외관에 코스트코 간판이 표시돼 있다. 사진=EPA/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2024년 9월 3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의 건물 외관에 코스트코 간판이 표시돼 있다. 사진=EPA/연합뉴스
미국의 다국적 창고형 회원제 할인점 코스트코가 금값 사상 최고 행진의 배경 가운데 하나가 아니냐는 의심을 받고 있다.

화장지부터 과자, 식용유, 쌀 등에 이르기까지 대용량으로 소비재를 파는 곳으로 유명한 코스트코가 금괴 판매에 나선 가운데 금값이 사상 최고 행진을 하고 있다.

1온스 금괴


코스트코는 지난해 9월부터 1온스짜리 금괴를 소비자들에게 판매하기 시작했다.

온라인에서 맛보기로 약 2000달러에 이 1온스 금괴를 팔기 시작했던 코스트코는 수개월 판매기간 별점 5개를 받을 정도로 평이 좋고, 매진 사례가 잇따르자 본격적으로 금괴를 팔기로 했다.

금이 소비자들에게 인기를 끌면서 강세장에 들어가자 이 열기를 자사 제품군 확대에 활용한 것이다.

코스트코의 전략은 먹혀 들어갔다.

웰스파고는 지난 4월 코스트코의 월 금괴 매출이 1억 달러에서 최대 2억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했다.

코스트코 최고재무책임자(CFO) 개리 밀러칩은 26일(현지시각) 분기 실적 발표 뒤 애널리스트들과 전화회의에서 금 매출이 지난 분기 ‘두 자릿수’ 증가했다고 밝혔다.

지난 분기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인 제품군은 보석, 장난감, 가정용품 외에 금이 유일했다.

2000달러에서 2700달러로


1온스짜리 24K 순금 골드바는 온라인으로만 코스트코 회원들에게 판매한다.

지난해 9월 약 2000달러였던 금괴 가격은 27일 현재 2699.99달러로 뛰었다.

그러나 금괴는 늘 매진 상태다.

코스트코 금괴는 실상 좋은 투자 대상은 아니다.

이날 LSEG 워크스페이스가 집계하는 금 현물 가격 2652달러보다도 약 48달러 비쌌다.

또 급전이 필요해 이 금괴를 팔면 코스트코에서 금을 산 소비자들은 손해를 본다.

금괴를 매입하는 곳에서 가격을 낮게 부르기 일쑤이고, 여기에 추가로 온스당 최대 40달러 운송비도 지불해야 한다.

또 미 우체국을 통해 금괴를 보내는 경우 2000달러짜리 금괴에는 추가로 40달러 손해보험도 가입해야 한다.

올해 30% 폭등


금은 올해 금융 시장에서 가장 성적이 좋은 자산 가운데 하나다.

금은 올해 30% 가까이 폭등해 뉴욕 주식 시장 실적 지표인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500 지수 상승률 21%를 압도했다.

금리 인하, 각국 중앙은행의 매수세 속에 가격이 뛰고 있다.

여기에 코스트코를 통해 금이 팔리기 시작하면서 인기가 더 높아진 것도 금 가격 상승 요인 가운데 하나로 주목 받고 있다.

금은 26일 온스당 2672.25달러로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


김미혜 글로벌이코노믹 해외통신원 LONGVIEW@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