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연구원이 31일 개최한 '기후변화 물리적 리스크와 보험회사 재무건전성' 세미나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한 보험산업의 위험성이 집중 조명됐다.
주목할 만한 점은 보험사들의 대응 방식이다. ACI 상승에 따라 보험사들은 보험요율을 보수적으로 조정했고, 이로 인해 손해율은 오히려 감소하는 역설적인 현상이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대응에도 불구하고 장기보험과 자동차보험 분야에서는 기후변화의 영향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한계의 배경에는 기후변화의 예측 불가능성과 지역별 피해 편차가 있다. 데이터 수집과 모델링의 어려움으로 인해 리스크 반영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으며, 보험사별로 사업모형에 따른 기후변화 노출 정도도 상이한 실정이다.
정 교수는 "극한 기후 현상은 여러 보험사에 동시다발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보험산업의 체계적인 대응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손실 예측 모형 구축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는 만큼, 대형사와 중소형사 간 대응 역량 격차가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했다.
보험사의 기후변화 대응에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미국 내 태풍 피해가 잦은 일부 지역에서는 피해액이 급증해 보험사들이 이를 감당하지 못하고, 소비자들에게 보험료를 대폭 인상했다. 하지만 치솟는 보험료를 견디지 못하는 소비자들이 많아지면서 결국 보험사들이 해당 지역에서 철수하는 상황이 나타났다.
전 교수는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부가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분석하고, 피해 지역에 대한 지원과 인프라 확충 등 적극적인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다정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2426w@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