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위기의 유로화, 2년 만에 최저치로 추락...ECB 금리 인하 베팅 급증

글로벌이코노믹

위기의 유로화, 2년 만에 최저치로 추락...ECB 금리 인하 베팅 급증

미국 1달러 지폐들 위에 100유로 지폐가 놓여 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1달러 지폐들 위에 100유로 지폐가 놓여 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유럽연합(EU)의 지표 부진으로 유럽중앙은행(ECB)의 공격적인 금리 인하 전망이 확산하면서 유로화가 22일(현지시각) 2년 만에 최저치로 추락했다.

유로화는 이날 런던 거래 초반 1% 넘게 하락한 1.0335달러까지 떨어지며 2022년 11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유럽연합 경제의 양대 축인 독일과 프랑스의 기업 활동이 예상보다 더 크게 위축되자 내달 ECB의 '빅컷'(0.5%포인트 금리 인하) 가능성에 힘이 실리며 유로화 매도세가 촉발됐다.

유로화는 뉴욕 시장 후반 달러 대비 0.56% 하락한 1.0414달러에 거래되며 3주 연속 내림세를 이어갔다.

이날 시장에서는 내달 ECB의 0.5%포인트 금리 인하 가능성을 50% 이상으로 반영했다. 이는 하루 전 15%에서 대폭 상향된 수치다.
JP모건 프라이빗 뱅크의 매튜 랜든 글로벌 시장 전략가는 블룸버그에 “지표 발표 이후 0.5%포인트 금리 인하 가능성을 고려하기 시작했다”면서 “유로화 숏(매도) 포지션 구축을 선호한다”고 밝혔다.

유로화는 지난 3개월 동안 G10(주요 10개국) 통화 중 가장 부진한 흐름을 보인 통화 중 하나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강력한 관세 부과 전망이 수출 의존도가 높은 유로존 경제에 타격을 줄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독일과 프랑스는 정치권이 투자자들의 신뢰를 잃으면서 ‘내우외환’에 시달리고 있기도 하다.

시장에서는 유로화가 1유로=1달러에 거래되는 등가(패리티·parity)로 하락할 가능성에 베팅하고 있다. 유로존 단일 통화인 유로화는 지난 1999년 출범 이후 단 두 차례만 달러 대비 등가 이하로 하락한 바 있다.

ECB의 금리 인하 전망을 반영하며 유로 지역의 채권 수익률도 큰 폭으로 하락했다. 이날 독일 2년물 국채 수익률은 0.13%포인트 하락한 1.98%를 기록하며 2022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시장에서는 내년에 ECB가 1.5%포인트의 금리 인하를 단행할 것으로 보고 있다.

유로존 전체의 기업 활동 지표도 악화일로다. S&P 글로벌의 11월 종합 구매관리자지수(PMI)는 10월 50에서 48.1로 하락하면서 애널리스트 추정치인 50을 밑돌았다. 시장은 특히 1월 이후 처음으로 활동이 감소한 서비스업의 급격한 둔화에 주목했다.

골드만삭스의 크리스티안 뮬러-글리즈만 자산 배분 리서치 책임자는 블룸버그 TV에 출연해 “최근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간의 적대 행위가 격화하면서 이 지역에 긴 그림자가 드리워지고 있으며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유럽은 낮은 금리가 필요하며 제조업도 저금리를 필요하다”면서 “현재 여러 요인이 유럽 경제에 부담을 주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 지역 자산 시장 전반에 걸쳐 비관적인 시각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수정 기자 soojungle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