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건설사들은 일단 현재 진행 중인 사업을 진행하는 것에 집중하고 이후 상황을 보며 움직일 예정이다.
6일 본지의 취재에 따르면 대형건설사들은 이번 사태 이후 대응에 나섰고 현재는 진행 중인 해외 사업과 영업활동에 집중하는 것으로 노선을 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B대형건설사 관계자는 “현장 인원들 간의 대화는 알 수 없으나 공식적으로 해외 발주처로부터 문의가 오거나 특이사항은 없었다”면서 “대응을 잘 했기 때문에 환율급등에 대한 리스크도 크지 않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른 대형건설사 역시 기존대로 해외에서 움직일 것이라고 밝혔다. 기업이 쌓아온 이미지엔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
다만 대형건설사들은 해외시장에서 국가 경쟁력의 변화는 살필 계획이다. 정부가 앞장서거나 함께한 사업이라면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C대형건설사 관계자는 “수주에 문제가 생길지, 국가 이미지 하락 등 상황을 주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D대형건설사 관계자는 “이번 사태로 신인도는 하락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면서 “특히 정부와 정부 간의 협력을 통해 움직이는 사업이라면 타격이 있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중앙아시아 등 해외에서 ‘일감’을 모색해온 정부는 지난 7월 23일엔 ‘해외 투자개발사업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기도 했다.
해외 수주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단순 도급형에서 벗어나겠다는 의도였다.
높은 신인도를 바탕으로 공공기관이 선도 투자자로 참여해 민간이 사업기회를 확보하도록 노력하겠다는 내용이다.
당시 ‘정상’외교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전략 국가 및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매년 투자개발사업 지원계획을 새로 마련한다고도 밝혔다.
그런데 변수가 생겼다. 내부 이슈로 민관합작투자사업인 PPP(Public-Private Partnership) 추진 동력이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미 순방했던 국가에서 사업이 구체화 되는 게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손태홍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실장은 “건설 외교는 중요하다”면서 “정부의 영향력이 상당한데 그런 면에서 이번 사태는 부정적인 요인”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정부 대 정부로 협상하고 활로를 뚫었던 부분, VIP가 방문하면서 체결한 업무협약 등이 원활히 추진되긴 어렵다고 본다”면서 “개별 건설사들은 사업장을 정상적으로 운영하는 것에 집중하되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문용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yk_115@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