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한국 조선사들은 비상계엄 사태 이후 한·미 간 조선업 협력관계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 윤 대통령과 트럼프 당선인은 지난달 7일 첫 통화에서 미국의 조선산업 재건부터 함정을 비롯한 특수선 건조와 유지·보수·정비(MRO)까지 전방위적으로 협력하기로 했다.
민주주의를 수호할 정부를 원한다는 메시지를 계속 내고 있다. 지금과 같은 불안이 장기화되면 한·미 양국 대통령 사이에서 주고받은 조선업 협력 기조가 흔들릴 가능성이 커진다.
한 업계 관계자는 “아직까지는 사업에 특별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면서도 “정치 불안이 장기화하면 여느 산업과 마찬가지로 부담이 되는 건 사실이라 (계엄 사태와 탄핵 정국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함정을 포함해 여러 업계가 활약 중인 ‘K-방산’은 국가와 국가 간 비즈니스이므로 앞으로 사업이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산·일본산 저가 철강 공세로 어려움을 겪는 국내 철강 업계도 무역장벽 대응력 약화에 주목하고 있다. 각국이 철강업의 무역장벽을 높이는 추세라 수출 제한이나 관세 같은 조치를 두고 정부가 협상을 벌여야 하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트럼프 차기 정부가 미국 철강업 부활을 공언하면서 한국의 철강 수출물량 쿼터가 현재의 연간 270만여 톤보다 줄어드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된다.
유럽연합(EU)도 철강 분야에서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시행을 앞뒀다. 여기에 달러당 1400원대로 원화 가치 약세가 고정되면서 철광석과 석탄 등 원자재 비용이 상승하며 실적 부담이 장기화되고 있다.
정승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rn72benec@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