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기업들이 트럼프 재집권의 싱크탱크로 부상한 미국우선정책연구소(AFPI)의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히, '전략적 디커플링' 정책이 현실화할 때를 대비한 대응 전략 마련에 분주하다고 10일(현지시각) 일본의 경제신문 닛케이 아시아가 보도했다.
한 일본 무역회사 관계자는 "민감하지 않은 품목까지 디커플링 대상이 된다면 심각한 문제가 될 것"이라며 "중국 투자가 미국 시장 진출의 걸림돌이 되는 상황을 우려한다"고 밝혔다.
일본 식음료업체 워싱턴 사무소 책임자는 "모든 2, 3차 협력사의 중국 사업 비중을 조사하고 공급망을 미국으로 이전하는 데 막대한 비용이 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아시아 기업들이 AFPI의 정책 형성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존스홉킨스대 켄트 칼더 교수는 "AFPI가 아시아 정책에 대한 명확한 입장이 부족한 만큼, 건설적인 제안이 받아들여질 여지가 있다"고 분석했다.
이는 트럼프 1기 때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가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 개념을 설득했던 사례와 유사하다. 당시 트럼프는 뚜렷한 아시아 정책 없이 취임했지만, 일본의 제안을 수용해 주요 정책으로 채택했다.
아시아 기업들은 AFPI 외에도 헤리티지재단, 허드슨연구소 등 전통적 보수 싱크탱크들과도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다만, 이들 기관의 영향력이 약화하는 추세여서, AFPI를 통한 새로운 네트워크 구축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트럼프 재집권의 핵심 두뇌집단으로 부상한 AFPI의 영향력 확대가 한국 경제에 새로운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일본 기업들의 선제적 대응을 참고해 신속한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관계자는 "AFPI의 '전략적 디커플링' 정책이 현실화될 경우 한국 기업들의 글로벌 공급망이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며 "정책 형성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동시에 공급망 재편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반도체, 배터리, 자동차 등 주력 산업의 경우 중국 의존도가 높아 리스크가 크다는 지적이다. 한국무역협회 관계자는 "2, 3차 협력사까지 포함한 전체 공급망의 중국 의존도를 점검하고 대체 생산기지 확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