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정부 마지막 미·중 금융·경제 워킹 그룹 회의 이번주 동시 개최

트럼프 당선인은 중국 수입품에 대한 60%의 관세 부과 공약을 이행하겠다고 공언하고 있어 차기 미국 정부에서 미·중 간 통상 전쟁이 발발할 가능성이 커졌다. 바이든 정부는 중국의 굴기를 막으려고 대중 제재를 강화하면서도 양국 간 대화 채널을 유산으로 남기려 한다고 뉴욕 타임스(NYT) 등 미국 언론이 11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재닛 옐런 미 재무부 장관은 이날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중국이 미국의 광범위한 관세 부과에 보복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옐런 장관은 "일방적인 조처에 직면했을 때 많은 국가가 보복할 방법을 모색하고, 중국도 그럴 것”이라며 “거의 모든 경제학자들이 광범위한 관세가 가격을 상당히 오르게 하고, 중국 수입품들을 더 비싸게 만들어 해당 수입품에 의존하는 기업들의 경쟁력을 해치는 등 미국 측이 손해를 볼 것이라는 점에 동의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트럼프 당선인이 공약한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일률적인 관세 부과에 대해 “미국이 그동안 좁은 범위에 집중하는 전략적 접근법을 사용했으나 광범위한 접근 방식에는 나와 대부분 경제학자가 심각하게 우려한다”고 말했다.
옐런 장관은 또 미·중 금융 워킹 그룹 회의와 같은 양국 간 대화 채널을 공고하게 유지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