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베르방크에 中 공동연구 확대 주문..."브릭스 파트너십도 강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정부와 최대 은행 스베르방크에 중국과의 AI 협력 강화를 지시했다. 서방의 제재로 첨단기술 접근이 제한된 상황에서 중국과의 협력을 통해 돌파구를 마련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크렘린궁은 2일(현지시각) 푸틴 대통령이 "AI 분야 기술 연구 및 개발에서 중국과의 협력을 확대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달 브릭스(BRICS) 국가들과의 AI 협력 발표에 이은 후속 조치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서방의 제재로 첨단기술 접근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주요 반도체 기업들의 수출 중단으로 AI 개발에 필수적인 그래픽처리장치(GPU) 수급이 막힌 상태다.
스베르방크의 게르만 그레프 CEO는 지난해 "GPU가 러시아가 대체하기 가장 어려운 하드웨어"라고 실토한 바 있다. 러시아는 이러한 기술적 고립을 탈피하기 위해 비서방 국가들과의 협력을 모색하고 있다.
영국 톨토이즈 미디어의 글로벌 AI 지수에 따르면 러시아는 AI 구현, 혁신, 투자 부문에서 83개국 중 31위를 기록했다. 이는 미국, 중국은 물론 브릭스 회원국인 인도, 브라질보다도 낮은 순위다.
전문가들은 "러시아가 중국과의 AI 협력을 통해 서방의 기술 제재를 우회하려 하지만, 기술 격차를 단기간에 극복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더불어 "미국의 대중 기술 제재가 강화되는 상황에서 중국과의 실질적 협력도 제한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러시아의 중국과의 AI 협력 시도가 한국에 주는 시사점이 주목된다. 특히 기술 주권과 국제협력의 균형이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관계자는 "러시아의 사례는 핵심 기술의 자립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준다"며 "한국도 AI 반도체 등 핵심 기술의 독자 개발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제협력의 방향성도 중요한 과제로 꼽힌다. 한 IT 정책 전문가는 "기술 블록화가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한국은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들과의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며 "미국, 일본, EU 등과의 기술 동맹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조언했다.
더불어 기술 안보의 중요성도 제기된다. 한 국가안보 전문가는 "첨단기술이 국가안보의 핵심 요소가 된 만큼, 기술 유출 방지와 공급망 안정성 확보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한국이 AI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기술 자립과 국제협력의 균형점을 찾는 것이 관건"이라고 입을 모았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