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최근 '미국 패싱 무역'이 준비되고 있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영국 경제일간지 파이낸셜타임스는 지난 6일(현지시각) 록펠러 인터내셔널의 회장이자 투자가 루치르 샤르마의 칼럼을 통해 중국을 포함한 세계 주요 무역국들이 미국을 제외한 무역 체계를 갖출 수 있다고 소개했다.
샤르마 회장은 "세계 무역 상황이 트럼프 차기 대통령으로 인해 좌우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아지고 있지만, 세계는 단극 체제가 아니며 단순히 한 사람을 중심으로 돌아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미국 대선 당시 중국산에 60% 관세를 부과하는 한편, 모든 수입품에 10∼20%의 보편 관세를 매기겠다는 공약을 했다. 또 멕시코와 캐나다에 국가 안보를 이유로 25% 관세를 적용시키겠다고 약속했다.
그 근거로 유럽연합(EU)과 남미공동시장(메르코수르·MERCOSUR) 31개국이 지난달인 12월 25년 만에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을 마무리하고 두 지역을 아우르는 거대 단일시장 출범에 합의한 점을 거론했다.
협정이 비준되면 인구 7억 명에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25%를 차지하는 단일 시장이 구축된다. 이 협정에 비준하는 참여국들은 관세를 90% 내릴 방침이다. 이렇게 된다면 굳이 미국의 높은 관세를 부담하면서 무역을 할 필요가 없어진다.
샤르마는 이와 함께 많은 국가들이 무역 거래에서 달러를 사용하지 않으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미 러시아-인도 간 무역의 90%는 자국 통화로 결제가 되고 있으며 차기 시장으로 각광 받는 인도는 22개국과 무역 대금을 루피화로 결제하기로 합의했다.사우디아라비아 등 핵심 산유국들은 달러 이외 통화로 원유 대금을 결제하는 계약을 맺기도 했다.
미국이 관세를 앞세우고 달러를 무기화하는 것에 '미국 패싱'으로 대항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커질 수밖에 없는 여건이다.
사정이 이런 만큼 우리나라도 빠르게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경제계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트럼프 신 행정부가 관세 공약을 현실화하면 우리나라 또한 적지 않은 영향을 받는 만큼 대외 환경이 급격하게 바뀌는 추세를 적극 대처해야 한다는 요구다.
문제는 정치 불확실성으로 우리나라의 트럼프2.0 무역 대응책은 확실하게 나오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트럼프 차기 대통령의 취임식이 불과 며칠 앞으로 다가오는 등 시계 바늘은 계속 돌고 있다. 심각한 무역 공백이 일어나지 않도록 빠른 대응책이 절실한 시점이다.
이용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scrait@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