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이전 후보지는 대구시가 3월 내 결정
영천시가 20일 상주시, 군위군과 함께 국방부 후보지 선정 심의위원회가 발표한 대구 군부대 이전 예비후보지에 선정됐다.대구 군부대 이전 사업은 대구광역시 관내 5개 군부대(육군 제2작전사령부, 제50사단사령부, 제5군수지원사령부, 공군 제1미사일방어여단, 방공포병학교)를 이전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군의 임무수행 여건 및 군인 가족의 정주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사업이다.
영천시는 2022년 9월 대구시가 낸 군부대 유치희망 지자체 공모에 같은 해 10월 상주시, 군위군, 의성군, 칠곡군 등과 함께 이전 후보지 신청서를 제출한 이후 활발하게 유치활동을 전개해 왔다.
영천시는 임고면 매호리 일원을 민군상생복합타운(망정우로지공원 남측 일원) 조성지로 내놓았고, 화산면 당지2리~화남면 구전, 온천리 일원을 지난해 국방부, 대구시에서 요구한 규모 400여만평의 야외종합훈련장(공용화기사격장) , 곡사화기(60mm, 81mm 박격포), 직사화기(기관총 등) 전술 훈련장 등으로 준비했다.
국방부는 먼저 군의 차질 없는 전·평시 임무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각 군의 후보지별 주둔지와 훈련장 부지 현장 실사를 통해 임무 수행 가능성과 군인 및 군인 가족의 생활 여건 보장을 위해 한국국방연구원이 각 지자체가 제출한 기본 자료(도시·군 관리계획 등)에 기반해 정주 환경을 평가했다.
그 결과 영천시·상주시·군위군이 작전·군수·복지 등 기능별 임무 수행이 용이하고, 훈련 효과를 발휘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됐다. 정주환경은 후보지별 큰 차이는 없었으나, 동일 지표로 평가 시 영천시·상주시·군위군이 전국 평균보다 높았다.
국방부는 대구시 군부대 이전 예비 후보지로 3곳을 선정해 대구시에 전달했으며, 이 중 최종 이전 후보지는 대구시가 사업성과 수용성을 평가해 선정할 예정이다. 대구시의 입장은 예비후보지 3곳을 대상으로 사업성 및 수용성을 평가해 최종 이전 후보지 한 곳을 3월 내 결정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최기문 영천시장은 “국방부의 복수 후보지 결정으로 유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대구 군부대 유치를 위한 시민들의 하나 된 유치 의지를 보여주는 게 매우 중요하다. 시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지지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정준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g900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