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머스크화(Muskification)’ 가속화…2기 트럼프 정부 개혁에 머스크식 칼날 적용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머스크화(Muskification)’ 가속화…2기 트럼프 정부 개혁에 머스크식 칼날 적용

일론 머스크 미국 정부효율부 수장.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일론 머스크 미국 정부효율부 수장. 사진=로이터
일론 머스크 테슬라 및 스페이스X 최고경영자(CEO)가 백악관에 공식 입성한 이후 그의 독특한 경영 스타일이 연방정부 개혁에도 적용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CNN은 30일(현지 시각) 리포트에서 이 같은 현상을 ‘머스크화(Muskification)’로 표현하면서 2기 트럼프 행정부가 정부 개혁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머스크의 트위터(현 X) 인수 전략과 유사한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머스크화란 머스크가 기업을 운영하는 특유의 방식을 정부 시스템에 이식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여기에는 정부 운영을 민간 기업처럼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개편하려는 시도가 포함된다.

특히 핵심적으로는 대규모 감원, 비용 절감, 기존 시스템 해체 및 혁신적 대체 방식 도입 등의 특징을 갖는다고 CNN은 지적했다.
그러나 과거 머스크의 방식이 성공만 거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이 같은 접근법이 정부 운영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낼지는 논란이 되고 있다고 CNN은 전했다.

머스크는 지난 2022년 트위터를 인수한 직후 직원들에게 ‘갈림길(A fork in the road)’이라는 제목의 이메일을 보내 극한의 헌신을 요구하면서 이를 원하지 않는 직원들에게는 퇴사를 권고했다. CNN에 따르면 미국에서 새 정부가 출범한 이달 연방정부 공무원들에게도 이와 거의 비슷한 메시지가 전달됐다.

CNN에 따르면 머스크가 이끄는 정부효율부는 최근 연방정부 공무원들에게 보낸 메시지에서 업무에 대한 탁월함과 신뢰, 충성, 성실을 요구하면서 이에 동의하지 않으면 퇴직 보상금을 받고 사직할 것을 권했다. CNN은 “이는 머스크가 과거 트위터에서 시행했던 방식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고 지적했다.

CNN은 "머스크가 트위터에서 했던 것처럼 연방정부에서도 급격한 감축과 개혁을 시도하고 있다"며 "그러나 연방정부는 기업과 다르게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므로 이 같은 변화가 초래할 사회적 비용과 혼란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말 대통령선거 기간부터 연방정부 축소를 핵심 공약으로 내세웠으며, 머스크는 이를 실행하는 핵심 인물로 부상했다.

CNN은 "트럼프 대통령이 머스크에게 백악관 사무실을 제공하고 정부 개혁을 맡긴 것은 그가 트위터를 운영했던 방식이 정부 개혁에도 효과적일 것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머스크의 개입 여부에 대한 CNN의 질문에 구체적인 답변을 피하면서 “정부효율부의 업무는 매우 생산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만 밝혔다.

한편, 머스크는 이날 X에 올린 글에서 로이터 통신이 최근 입소스에 의뢰한 여론조사의 결과를 인용하면서 “미국인의 44%가 연방정부의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DEI)’ 프로그램 폐지를 지지한다”며 “정부 축소는 가장 인기 있는 정책”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CNN은 “머스크의 강경한 구조조정 방식이 연방정부에서도 그대로 적용될 경우 트위터에서 발생했던 문제들이 반복될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고 전했다.

머스크는 지난 2022년 트위터를 인수한 후 전 직원의 75%를 해고했고 데이터센터를 폐쇄했으며 콘텐츠 검열 정책을 대폭 완화했다. 그 결과 트위터는 서비스 장애가 빈번해졌고 광고주들이 대거 이탈하며 기업 가치가 80% 가까이나 하락했다.

특히 전문 인력 감축으로 플랫폼의 유지 보수가 어려워졌고 내부 시스템도 붕괴됐다. 전문가들은 정부 운영에도 이 같은 방식이 적용될 경우 공공 서비스 제공이 심각하게 저해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하고 있다고 CNN은 전했다.

윌리엄 클레퍼 컬럼비아대 경영대학원 교수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기업과 정부는 운영 방식이 전혀 다르다"며 "기업은 경쟁력을 통해 수익을 극대화하는 것이 목표지만 정부는 국민들에게 더 나은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지적했다.

트위터에서 임원을 지낸 라라 코언도 소셜미디어 스레드에 글을 올려 “트위터 인수 당시와 상황이 놀랍도록 유사하다”며 “머스크와 그의 팀은 맥락 없이 시스템을 무너뜨리고 있으며 이는 기업이 아니라 국가를 운영하는 일이라 그 피해가 더욱 클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