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美, 징벌관세·구조관세·상호관세 3가지 전략 구체화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美, 징벌관세·구조관세·상호관세 3가지 전략 구체화

징벌관세는 협상, 구조관세는 무역 시스템 변화, 상호관세는 적자 개선 목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 시각) 수입 철강과 알루미늄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사진은 미국 보스턴항에 있는 수입품 컨테이너. 사진=로이터/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 시각) 수입 철강과 알루미늄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사진은 미국 보스턴항에 있는 수입품 컨테이너.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정부의 관세 정책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 그는 미국의 주요 교역 상대국을 대상으로 관세 전쟁을 시작하면서 이를 '징벌 관세(punitive tariff)', '구조 관세(structural tariff)', '상호 관세(reciprocal tariff)' 등 3가지로 구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 가장 먼저 징벌 관세 카드를 꺼내 들었다. 트럼프는 지난 1일 마약 펜타닐과 불법 이민자 유입 등을 ‘징계’하는 차원에서 멕시코와 캐나다에 25%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가 발효를 하루 앞둔 3일 협상 끝에 관세 부과 시점을 30일 유예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때 펜타민 원료 제공국으로 지목한 중국에 대해서는 10% 추가 관세를 지난 4일부터 적용했다.

그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통화 추진 등 협상 여지를 남겨두었으나 일단 미·중 간 막후 협상 결렬로 가장 먼저 중국에 관세 폭탄을 투하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0일(현지 시각)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 간 통화가 성사돼 두 지도자가 합의하면 중국에 대한 10% 추가 관세가 유예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6일 미국에서 추방된 자국민을 태우고 콜롬비아로 향하던 미 군용기의 착륙을 불허한 콜롬비아에 25%의 ‘징벌 관세’를 부과했다가 그날 당일 철회했다. 콜롬비아는 트럼프 대통령의 제재 발표가 나온 지 9시간 만에 의 요구를 모두 수용했고,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부과 조처를 거둬들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10일 모든 수입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해 각각 25% 관세를 부과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결정으로 이미 25%의 관세를 적용받던 국가들은 추가 관세로 인해 50%의 관세를 적용받을 수 있다.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는 멕시코와 캐나다를 겨냥했던 '징벌 관세'와는 성격이 다르다. 이는 무역 시스템을 바꿔 놓으려는 ‘구조 관세’이기 때문이다. WSJ는 “이것은 펜타닐과 이민 등 무역 이외 분야에서 특정 목적을 달성하려는 관세가 아니라 외국 정부의 자국 기업에 대한 보조금 지급, 미국 기업에 대한 차별, 지속적이고 규모가 큰 무역 역조 등 무역 구조를 개선하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징벌 관세'는 관련 국가와 협상을 통해 유보 또는 취소될 수 있지만, 무역 불균형 해소를 위한 ‘구조 관세’는 정부 지도자 간 몇 통의 전화로 해결될 수 없다고 WSJ가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11일이나 12일에 상호 관세를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대선 당시에 한국을 포함한 모든 교역 상대국에 10~20%의 '보편 관세(across-the-board tariff)'를 매기겠다고 공약했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 미·일 정상회담을 전후해 보편 관세 대신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말을 바꿨다.

보편 관세 전 세계 모든 국가를 상대로 예외없이 모든 품목에 부과하는 관세를 뜻한다. 상호 관세는 특정 국가와 특정 품목에 대해 상호주의 원칙을 적용해 똑같관세를 부과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보편 관세에 비해 부과 범위가 대폭 줄어들 수 있다. 상호 관세는 감세에 따른 세수 부족분 충당과 무역 적자 개선을 위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7일 미·일 정상회담 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한 나라가 우리에게 얼마를 내거나 얼마를 부과하거나, 우리가 똑같이 하는 방식이다. 매우 상호주의적이다. 왜냐하면 그것이 공정하게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