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현대차·기아, 트럼프 관세 최대 피해 기업 될 가능성"...한·미 FTA 피난처 사라져

글로벌이코노믹

"현대차·기아, 트럼프 관세 최대 피해 기업 될 가능성"...한·미 FTA 피난처 사라져

미 언론, 한국산 자동차 무관세 미국 수출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3일(현지 시각)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상호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3일(현지 시각)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상호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위협으로 글로벌 자동차 업계가 심대한 영향을 받게 되고, 그동안 관세 무풍지대로 남아있던 한국 현대차 그룹과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가장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미 CNBC가 13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한국과 일본의 자동차 제조업체는 지난해 미국에서 판매된 자동차의 16.8%를 점하고 있다. 현대차의 점유율은 8.6%, 일본 차는 8.2%다.

현재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인해 한국산 자동차에는 관세가 없으나 일본산 자동차에는 2.5%의 관세가 붙고, 트럭에는 한·일 양국 자동차에 모두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글로벌 데이터에 따르면 한국은 지난해 멕시코에 이어 미국의 2위 자동차 수입국이 됐다. 지난해 미국에서 판매된 자동차의 16.2%가 멕시코에서 생산됐다.

현대차와 기아의 미국 시장 점유율은 갈수록 올라가고 있다.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은 2019년에 84만5000대였으나 지난해에는 137만 대로 늘어났다. 토요타, 혼다, 닛산을 비롯한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가 미국에 수출한 물량은 지난해 131만 대에 그쳤다.

미 국제거래위원회(ITC) 통계에 따르면 한·미 FTA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한국에 대한 자동차 수출은 오히려 16% 감소했다.
현대차 그룹은 대미 최대 자동차 수출 업체이고, 그다음이 한국 GM이라고 이 매체가 전했다. GM이 한국에서 생산해 미국에 판매한 자동차는 2019년 17만3000대에서 지난해에 40만7000대로 증가했다.

GM은 한국 자동차 산업에서 가장 큰 외국인 직접 투자 기업으로 2002년 이후 약 9조원을 투자했다. GM은 현재 뷰익 앙코르 GX, 뷰익 엔비스타,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 쉐보레 트랙스 등을 한국 공장에서 생산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13일 각국의 관세비관세 장벽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상호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과 FTA 체결한 한국도 상호 관세 부과 대상국이 될 가능성이 있다. 상호 관세는 각국이 미국 상품에 적용하는 관세율만큼 미국도 상대국 상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것을 뜻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지명자가 상대국의 관세 장벽과 비관세 장벽을 두루 검토해 관세율을 도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러트닉 지명자는 "우리는 국가별로 일대일로 다룰 것”이라며 개별 국가들과 양자 협상을 할 것임을 예고했다. 러트닉 지명자는 "이 문제에 대한 정부 차원의 연구는 4월 1일까지 마무리될 것"이라고 말했다. 상무부와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국가별로 상호주의적인 교역 관계를 보장하는 데 필요한 권고안을 담은 보고서를 대통령에게 제출할 계획이다.

미국 빅3 자동차 업체 중 하나인 포드의 짐 팔리(Jim Farley)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11일 미국 뉴욕에서 열린 울프 리서치 주최 자동차 산업 콘퍼런스에서 “멕시코·캐나다에 대한 관세는 150만~200만 대의 차를 미국으로 들여오는 한국·일본·유럽 자동차 기업에 제한 없는 자유를 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지난 7일 열린 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 현장에서도 “연간 수십만 대의 차를 수출하는 토요타와 현대차·기아는 사실상 관세 없이 차를 팔고 있다”며 “트럼프 정부가 멕시코·캐나다에 대한 관세를 시행하려면 모든 국가를 종합적으로 살펴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각 사가 밝힌 지난해 미국 자동차 판매량을 종합하면 순위는 1위 제너럴모터스(268만9346대), 2위 토요타(233만2623대), 3위 포드(206만5161대), 4위 현대차·기아(170만8293대) 순이다. 현대차·기아의 판매량은 2020년 120만8374대(5위)에서 4년 만에 41.4% 증가했다.

현대차·기아는 미국 판매량 중 절반 이상을 한국에서 생산해 공급한다. 지난해 미국 판매량 중 58.3%(99만5477만 대)가 한국에서 생산돼 무관세로 수출됐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