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만삭스 "12개월 내 19% 상승...2000억 달러 자금 유입 전망“
"AI 혁신이 기업 수익성 제고...연 2.5% EPS 증가 기대"
"AI 혁신이 기업 수익성 제고...연 2.5% EPS 증가 기대"

골드만삭스는 17일(현지시각) 보고서를 통해 "중국 AI 기업들의 약진으로 향후 12개월간 2000억 달러 이상의 포트폴리오 자금이 유입될 것"이라며 MSCI 중국 지수와 CSI 300 지수가 각각 16%, 19%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최근 항저우 소재 스타트업 딥시크가 선보인 AI 모델의 영향이 크다. 지난달 공개된 '딥시크-R1'은 오픈AI, 앤스로픽, 구글 등의 모델과 유사한 성능을 보이면서도 훈련 비용이 크게 낮아 주목받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AI 기술이 비용 절감과 생산성 향상, 새로운 수익원 창출로 이어질 것"이라며 "중국 기업들의 주당순이익(EPS)이 향후 10년간 연 2.5%씩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UBS도 "딥시크가 주도하는 중국 증시 상승세가 아직 절반도 지나지 않았다"며 "양호한 유동성과 낮은 금리가 AI 관련 종목의 밸류에이션 재평가를 이끌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골드만삭스는 "AI만으로는 중국의 모든 경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며 "뿌리 깊은 거시적 문제 해결과 지속 가능한 주식 이익을 위해서는 강력한 정책 부양책이 여전히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항셍 테크 지수는 딥시크 효과로 지난 한 달간 27% 상승했다. 이는 2022년 11월 챗GPT 출시 이후 미국 기술주가 50% 급등하며 시가총액이 13조 달러 늘어난 것과 유사한 흐름으로 평가된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