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의 관세 위협, 멕시코 투자 매력도 떨어뜨리나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의 관세 위협, 멕시코 투자 매력도 떨어뜨리나

중국 기업, 멕시코 투자 재검토...불확실성 증가, 비용 상승 우려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향방 주시... 공급망 재편 가능성도
트럼프의 관세 위협은 멕시코에 대한 투자를 고려하는 중국 제조업체들의 의욕을 꺾을 수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트럼프의 관세 위협은 멕시코에 대한 투자를 고려하는 중국 제조업체들의 의욕을 꺾을 수 있다.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멕시코 관세 부과 위협으로 중국 기업들이 멕시코 투자를 재고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초 불법 이민 문제를 이유로 멕시코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가 멕시코 정부의 국경 보안 강화 약속을 받고 관세 부과를 일시 중단한 바 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여전히 멕시코를 포함한 모든 국가의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을 파기할 수 있다는 위협도 가하고 있다. 이러한 불확실성 속에서 중국 기업들은 멕시코 투자에 대한 리스크를 재평가하고 있다.

최근 닛케이 아시아와의 인터뷰에 응한 중국 제조업체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 이후 멕시코에 대한 신규 투자계획을 보류했다고 밝혔다. 특히 2026년 재검토 예정인 USMCA의 향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멕시코 북동부 누에보레온 주에서 자동차 부품 공장을 운영하는 한 중국 기업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USMCA를 파기하고 고율의 관세를 부과할 경우 멕시코에서 철수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그는 "트럼프의 관세 부과가 단기적인 조치이기를 바라지만, 상황에 따라 빠르게 대응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멕시코 산업단지 개발업자들도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 이후 중국 기업들의 투자가 지연되고 있다고 전했다. 마라비스 산업단지의 데이비드 파스쿠알 알레마니 사장은 "지난해 중국 기업들이 7건의 투자 계약을 체결하는 등 투자 모멘텀이 좋았지만, 최근 관세 위협으로 인해 투자를 망설이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중국 기업들은 그동안 멕시코를 "글로벌 진출" 전략의 핵심 거점으로 삼아왔다. 멕시코는 미국과의 지리적 인접성, USMCA를 통한 무관세 혜택, 풍부하고 저렴한 노동력 등 매력적인 투자 요인을 갖추고 있다. 또한, 유럽 국가들과도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여 폭넓은 시장 접근성을 제공한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예측 불가능한 통상 정책과 관세 위협은 중국 기업들의 멕시코 투자에 대한 불확실성을 증폭시키고 있다. 멕시코에 대한 투자 매력도가 감소하면서, 중국 기업들은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다른 투자처를 모색하거나 중국 내 생산시설을 유지하는 방안을 검토할 가능성이 높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이 현실화될 경우, 중국 기업들이 북미 지역 공급망을 재편해야 할 수도 있다고 지적한다. 올브라이트 로의 제니퍼 왕 시니어 파트너는 "북미 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중국 기업들은 관세 부과에 대비해 생산 위치와 공급망 경로를 재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실제로 멕시코에서 자동차 부품 공장을 운영하는 한 중국 기업 관계자는 "멕시코의 인건비가 중국보다 높지만,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공급망 차질과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 부과 위협으로 멕시코에 생산시설을 설립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멕시코에 25%의 관세가 부과될 경우, 생산시설을 다시 중국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멕시코 관세 위협은 중국 기업들의 멕시코 투자에 대한 불확실성을 높이고 있다. 중국 기업들은 관세 부과, USMCA 파기 가능성 등 다양한 리스크 요인들을 고려하여 투자 전략을 재검토해야 할 시점이다.

멕시코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에 굴복하지 않고 자유 무역 질서를 수호하겠다는 의지를 밝히고 있지만, 미국의 통상정책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한 중국 기업들의 멕시코 투자는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 멕시코 투자를 고려하는 한국 기업들 역시 미국의 정책 변화와 중국 기업들의 투자 동향을 예의주시하면서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