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고립주의 강화에 밀리는 '차이나 리스크'..."안정적 파트너" 이미지 부각
전문가들 "글로벌 세력 구도 재편 가능성...각국 실리외교 확산될 것"
전문가들 "글로벌 세력 구도 재편 가능성...각국 실리외교 확산될 것"

일본의 경제신문 닛케이아시아는 2020년 이후 '위험한 경쟁자'로 인식된 중국이 '안정적 파트너'로 재평가받을 가능성이 제기된다고 17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닛케이아시아에 따르면, 중국은 최근 주요 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일본과는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을 재개하기로 했고, 인도와는 50년 가까이 이어진 국경 분쟁 해결에 합의했다. 호주와의 무역 관계도 복원해 지난해 대중 수출액이 1450억 달러로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
캐나다 토론토 컨설팅회사 지오폴리티컬 비즈니스(The Geopolitical Business)의 아비슈르 프라카시 설립자는 "중국이 미국 동맹국들의 반중 정서를 완화하려 나서고 있다"면서 "트럼프의 강경책이 각국을 중국 쪽으로 밀어붙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트럼프의 일방주의 행보가 이러한 인식을 바꾸고 있다. 캐나다·멕시코에 대한 25% 관세 부과, 파리기후협약과 WHO 탈퇴 등 미국의 고립주의 정책이 중국을 '안정적이고 실용적인 대안'으로 부각시키고 있다는 평가다.
기후변화 대응에서도 중국의 입지가 강화되고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트럼프가 최근 다보스 포럼에서 석탄발전 확대를 시사한 반면, 중국은 연간 8900억 달러를 청정에너지에 투자하며 글로벌 리더십 확보에 나섰다. 미국의 석탄발전 비중은 1997년 53%에서 2022년 17.6%로 감소했다. 트럼프의 에너지 정책 전환 시도는 배터리와 청정에너지 분야에서 우위를 차지한 중국에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물론 트럼프발 변화가 중국에 반드시 유리하게 작용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주장도 설득력을 얻곻 있다. 멕시코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멕시코는 미국과의 무역 전쟁을 피하기 위해 오히려 중국산 수입을 제한하고, 중국의 덤핑으로 타격을 입은 자국 철강 기업 지원을 강화했다.
전문가들은 각국이 자국 이익을 극대화하는 실리 외교를 강화할 것으로 예상한다. 중국과의 관계에서도 '파트너로서 우호적 접근'과 '냉담한 태도' 외에 '선택적 협력'이라는 제3의 길이 부상할 수 있다는 것이다.
프라카시 설립자는 "무역과 관세는 국가들의 근본적인 방향 전환을 이끄는 시발점이 될 것"이라면서 "트럼프의 정책이 글로벌 세력 구도를 재편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는 미·중 패권 경쟁의 새로운 국면을 예고한다. 중국이 최근의 관계 개선 노력으로 실질적 성과를 거둘지, 아니면 미국이 동맹국들의 이탈을 막을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국제사회는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더욱 복잡한 선택을 강요받을 전망이다. 이 과정에서 각국의 실리적 판단이 새로운 국제질서 형성의 핵심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