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터키와 드론 제조 공장 계약 체결
중국·한국·이란 등 해양력 강화 위한 무인 시스템 도입 확대
중국·한국·이란 등 해양력 강화 위한 무인 시스템 도입 확대

2022년 이후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에서 드론의 효과적인 활용이 입증되면서, 중국, 한국, 이란, 터키 등 아시아 국가들은 해양력 강화를 위해 무인 항공기(UAV)와 드론 운반선을 해군 전략에 빠르게 통합하고 있다.
워싱턴 소재 연구기관 CNA의 드론 전문가 새뮤얼 벤뎃은 "무인 시스템은 정찰, 정보 수집 또는 전투 임무 등을 수행하면서 조종사나 운영자를 위험에 빠뜨리지 않는 고급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를 통해 군대는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정부는 특정 계약에서 기술적, 정치적 파급효과를 처리하지 않아도 된다"고 덧붙였다.
특히 극초음속 미사일 기술의 발전으로 비싸고 생산이 어려운 항공모함과 전투기의 취약성이 증가하면서, 무장 드론과 드론 운반선이 더욱 매력적인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터키 바이카르사로부터 개발 중인 바이락타르 TB3 드론을 제공받을 예정이다. 이 드론은 총 14미터 길이의 접이식 날개를 장착해 선박의 적재 용량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인도네시아 국방부는 최근 헬리콥터 착륙장을 포함한 해군 함정 확보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으며, 이는 향후 TB3 드론이 해군에 통합될 가능성을 높인다고 분석가들은 전망했다.
중국은 이 지역에서 가장 발전된 드론과 항공모함을 보유한 국가 중 하나다. 지난 12월 인민해방군은 '쓰촨성'으로도 알려진 076형 차세대 상륙 강습함 및 드론 운반선을 진수했다. 워싱턴의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전자기 투석기를 갖춘 이 함정이 전투기와 같은 대형 항공기도 수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중국은 GJ-11 스텔스 전투 드론, WZ-7 정찰 드론, CASC 레인보우 스트라이크 등 첨단 UAV 무기고를 보유하고 있다.
재정적·기술적 역량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국가들도 창의적인 방식으로 드론 기술을 해군력에 통합하고 있다. 이란의 이슬람 혁명수비대는 지난 2월 초 컨테이너선을 개조한 자국 최초의 드론 운반선 전함을 공개했다. 허드슨 연구소의 선임연구원 칸 카사포글루는 "개조된 항공모함 플랫폼에 로봇 비행단을 배치하는 것은 새로운 추세"라고 평가했다.
한국 해군도 지난 11월 미국 제너럴 아토믹스사가 제작한 프로토타입 드론 '모하비'를 독도급 상륙 강습함에서 이륙 시험을 실시했다.
터키 퓨전포스트레지의 설립자 하산 유크셀렌은 "F-35B와 같이 수직 이착륙이 가능한 전투기와 대형 항공모함은 비용이 많이 들고 일부 강대국만이 유지할 수 있는 높은 기술력을 필요로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헬리콥터 착륙장을 갖춘 국가들에게 고정익 드론은 비용 효율적이고 긴 비행 시간으로 많은 운영 유연성을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벤뎃은 해전이 유인과 무인 자산의 혼합으로 진화하고 있다며, "점점 더 많은 국가가 이 경로를 따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극초음속 미사일 기술 발전으로 인한 기존 함정의 취약성 증가와 비용 효율성을 고려할 때, 드론 기반 해군력 증강은 아시아 지역에서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