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美 소비자들, 고물가 속 '가성비 소비 전략' 확산…외식 줄이고 일반 브랜드 선호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美 소비자들, 고물가 속 '가성비 소비 전략' 확산…외식 줄이고 일반 브랜드 선호

렌딩트리의 설문조사 결과. 사진=렌딩트리이미지 확대보기
렌딩트리의 설문조사 결과. 사진=렌딩트리
미국 소비자들의 소비 행태가 고물가의 여파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현지시각) 미국 경제매체 넥스타에 따르면 온라인 대출업체 렌딩트리가 지난 1월 미국 성인 2000명을 대상으로 미국의 식료품 가격 상승이 소비자들의 소비 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응답자의 88%가 식료품 가격 상승에 따라 구매 방식을 변경했다고 답했다.

미 노동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부터 지난 1월까지 식료품 가격은 0.7% 상승했으며 지난해 1월과 비교하면 2.5% 상승했다.

미국 소비자들은 가격 부담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 참여한 소비자의 44%는 브랜드 제품 대신 일반 브랜드를 선택하고 있으며, 38%는 미리 계획한 품목만 구매한다고 답했다.
또 응답자의 85%는 외식 빈도를 줄였으며, 59%는 외식을 아예 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특히 외식을 지속하는 사람들 중 55%는 팁을 줄이거나 아예 주지 않는다고 답했으며, 이는 Z세대에서 72%로 더욱 높게 나타났다.

렌딩트리의 수석 신용 분석가 매트 슐츠는 "식료품과 같은 필수 품목의 가격 상승은 가계 예산에 큰 부담을 준다"며 "그러나 쇼핑 장소 변경, 일반 브랜드 고려, 신용카드 리워드 활용, 예산 수립 및 쇼핑 리스트 준수 등 간단한 방법으로도 상당한 차이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식료품 가격 상승은 소비자들의 정서에도 영향을 미쳐 연 소득 3만 달러(약 3900만 원) 이하의 응답자 중 74%가 식료품 비용으로 인해 불안을 느낀다고 답했다.

이같은 상황에서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지난 1월 가속화돼 식료품, 가솔린, 임대료 등의 비용이 상승해 연방준비제도의 추가 금리 인하 지연 가능성을 키웠다.

이같은 물가 상승 추세는 조 바이든 전 대통령에게 정치적 부담으로 작용했으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첫날부터 가격 인하를 약속했으나 일부 경제학자들은 그의 관세 정책이 단기적으로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