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 등 보도에 따르면 미국 농무부는 지난달 말 덴마크를 비롯한 유럽의 주요 달걀 생산국들에 미국으로의 수출 가능성과 의향 등을 묻는 공문을 보냈다.
앞서 이달 초에는 덴마크 산란계협회에 보낸 서한에서 여전히 미국 정부의 추가 지침을 기다리는 중이라면서도 "수입 조건이 맞는다는 전제하에 미국으로 공급할 수 있는 달걀의 양을 추산해달라"고 요청했다.
미국에 덴마크를 향해 아쉬운 소리를 하는 배경은 미국의 달걀 가격이 미친듯이 치솟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에서는 지난해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H5N1) 확산 여파로 4000만 마리가 넘는 산란계가 살처분됐고, 이로 인해 달걀 가격이 급등해 왔다.
2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에 따르면 계란 가격은 1년 전보다 약 59% 높은 수준으로 집계됐다. 최근에는 상승세가 다소 둔화하고 있다지만 이전 수준으로 내려가려면 최소 수개월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AI로 인한 달걀 부족 사태가 전 세계적 현상이다 보니 덴마크도 미국 수출에는 난색을 보이고 있다.
덴마크 산란계협회는 위생 관련 규제와 여러 요인으로 인해 미국으로 달걀을 수출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밝혔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안보상 필요'를 주장하며 덴마크 자치령인 그린란드를 미국 영토로 편입하겠다는 뜻을 여러 차례 공개적으로 드러내 해당국으로부터 반발을 사고 있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ong@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