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백악관 "韓·日과 최우선 관세 협상...이미 많은 양보 받아냈다"

글로벌이코노믹

백악관 "韓·日과 최우선 관세 협상...이미 많은 양보 받아냈다"

그리어 USTR 대표는 단기간 내 면제나 예외 없다고 쐐기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8일(현지 시각) 미 상원 재무위원회 청문회에서 단기간 내에 관세 면제나 예외 조처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8일(현지 시각) 미 상원 재무위원회 청문회에서 단기간 내에 관세 면제나 예외 조처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미국 백악관은 한국·일본과 상호 관세를 부과하기 위한 협상을 최우선으로 할 것이며 그동안 논의에서 많은 양보를 받아냈다고 밝혔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8일(현지 ) 폭스뉴스 한 인터뷰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우리의 가장 긴밀한 동맹이자 교역 파트너 중에서 일본과 한국 두 국가를 분명히 우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해싯 위원장은 한국·일본과의 사전 협상 내용에 대해 “미국 노동자와 농민을 위해 정말 긍정적이었고, 테이블에 정말 많은 양보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일 한국과 일본에 상호 관세를 부과하기로 발표하기 전에 양국 간 협의에서 한국이나 일본 측의 양보가 있었다는 의미로 여겨진다.

그러나 해싯 위원장은 불공정한 무역 정책으로 수년간 미국에 엄청난 무역적자를 안긴 큰 교역 파트너들을 “레이저 빔처럼 집중하고 있다"고 말해 한국 등 대미 교역 적자가 큰 나라의 양보를 얻어낼 계획임을 시사했다. 해싯 위원장은 “대통령은 우리 모두에게 내린 지시를 통해 우리가 무역 합의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우리 동맹과 교역 파트너들을 우선하라는 점을 매우 분명히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중국과의 대화 여부와 시기는 대통령이 정하겠지만 지금 당장 우리는 일본·한국 등과 같은 우리 동맹과 교역 파트너들을 우선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말했다.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도 이날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무역 협상팀에 상호 관세 등과 관련해 국가별로 맞춤형 협상을 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레빗 대변인은 “모든 개별 협상은 그 나라의 시장, 수출, 미국의 수입 등을 기반으로 맞춤형으로 독특한 것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레빗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의 메시지는 '최고의 제안을 갖고 오면 듣겠다’는 것”이라며 "미국 노동자에게 이익이 되고 미국의 심각한 무역적자를 해결할 수 있을 때에만 협상이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레빗 대변인은 또 "트럼프 대통령 맞춤형 접근 방식을 취할 것이고, 만약 그것이 해외 원조, 미군의 이들 국가 주둔 및 그 비용 등을 의미한다면 협상의 일부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것은 관세와 무역 협상이지만 그것은 모든 나라에 '원스톱 쇼핑'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 이날 통화했고, 소셜미디어에 올린 글에서 “한국과 마찬가지로 우리는 무역과 관세에서 다루지 않는 다른 주제를 제기하고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며 “원스톱 쇼핑은 아름답고 효율적인 프로세스”라고 밝혔다. 이는 트럼프 정부가 한국 측과 관세, 무역수지 개선 등 경제 문제를 방위비 등 안보 현안과 묶어 포괄적인 협상을 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이날 상원 재무위원회 청문회에서 단기간 내에 관세 면제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상호주의를 달성하고 우리의 무역적자를 줄일 수 있는 더 나은 아이디어가 있다면 우리는 대화하고 협상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리어 대표는 무역 협상 결과가 국가별로 모두 다를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관세 장벽이나 관세, 무역적자를 완전히 해소하지 못하는 일부 국가가 있을 수 있고, 완전히 해소할 수 있는 국가들도 있을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은 이들 국가와 합의할 수 있는 선택지를 갖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리어 대표는 “대통령예외나 면제를 두지 않으려고 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고, 단기에는 면제나 예외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해왔다"고 설명했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