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NYT "트럼프 관세에 흔들리는 한국, 절충안 모색하며 美 설득 나선다"

글로벌이코노믹

NYT "트럼프 관세에 흔들리는 한국, 절충안 모색하며 美 설득 나선다"



한덕수 국무총리 겸 대통령 권한대행이 지난 8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하고 있는 장면을 전하는 방송 보도를 시민들이 지켜보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한덕수 국무총리 겸 대통령 권한대행이 지난 8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하고 있는 장면을 전하는 방송 보도를 시민들이 지켜보고 있다.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격 발표한 고율 관세 조치로 직격탄을 맞은 한국이 미국과의 무역 협상과 자국 산업 보호를 동시에 추진하며 외교·경제적 절충점을 모색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9일(현지시각) 보도했다.

NYT에 따르면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이끄는 한국 대표단은 이날 워싱턴으로 향하며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관세 조치 완화를 위한 협상에 본격 착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그들(한국)의 최상급 팀이 미국으로 오고 있다. 좋은 결과가 기대된다”며 회담 분위기를 띄웠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주 한국산 수출품에 대해 일괄 25%의 고율 관세를 발표했으며, 특히 자동차 산업이 가장 큰 타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한국 정부는 2025년 한 해 자동차업계에 대한 금융지원 규모를 기존 13조원에서 15조원으로 확대하고, 자동차 취득세를 6월까지 5%에서 3.5%로 한시 인하하기로 했다. 전기차 보조금도 함께 늘릴 계획이다.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은 한덕수 국무총리는 이날 CNN과 인터뷰에서 “한국은 중국과 손잡고 미국에 맞서는 선택을 하지 않을 것”이라며 “협상을 통해 해법을 찾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맞대응 방식이 상황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 보지 않는다”고 밝혔다.

같은 날 트럼프 대통령과의 전화통화에서 한 총리는 조선·액화천연가스(LNG) 분야에서 미국과의 협력을 확대하고 한국의 557억달러(약 82조원) 규모 대미 무역수지 흑자도 줄여나갈 의사가 있다고 전했다.

이번 협상은 단순한 무역 문제를 넘어 방위비 분담 문제까지 확산되는 양상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 총리와의 통화 후 “우리가 한국에 제공하는 대규모 군사 방어에 대한 비용 문제를 논의했다”고 밝혀 주한미군 주둔비 증액 압박도 동시에 가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지난 대선 과정에서부터 동맹국들이 미국의 방위비 부담에 충분히 기여하지 않고 있다며 방위비 증액을 공약한 바 있다. 한국에는 현재 약 2만8,500명의 주한미군이 주둔하고 있다.

한국은 전쟁의 폐허 속에서 수출 중심 산업화 전략을 통해 세계 10위권 경제국으로 도약했으며, 미국과의 70년 이상 된 안보 동맹 역시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관세 조치와 방위비 증액 압박은 한국 정부가 외교·경제 전반에서 매우 민감한 균형을 요구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