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플이 기사회생했다.
애플은 주력 생산기지인 중국을 비롯해 각 생산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로 엄청난 관세에 직면하면서 위기에 몰렸다.
아이폰, 에어팟 등 애플의 미 판매 가격이 폭등하고, 제품 출시 간격도 1년에서 2년으로 늘어날 것이란 전망까지 나왔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가 11일(현지시각) 밤 관보를 통해 스마트폰 등 전자 제품을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함에 따라 일단 급한 불은 껐다.
전자제품, 상호관세 제외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에 따르면 미 관세국경보호국(CBP)은 11일 밤 일부 품목을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하는 내용의 새로운 지침을 공개했다.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기계류, 컴퓨터 모니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컴퓨터 등은 트럼프가 2일 발표한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중국 수입품에는 145% 관세가 부과되지만 애플이 중국 공장에서 생산하는 제품들은 이 새로운 관세 대상에서 제외된 것이다.
애플 뿐만 아니라 삼성전자, HP, 델, 마이크로소프트(MS) 등 해외 생산기지에서 제품을 만들어 미국에 수입하는 전자 업체들이 혜택을 보게 됐다.
트럼프 취임 뒤 관세전쟁으로 고전하던 기술 업체들은 모처럼 트럼프로부터 선물을 받은 셈이다.
주식 시장에 새 호재
일부 애널리스트들은 전자제품 관세 면제가 기술주 상승세를 부추기는 호재가 될 것으로 낙관하고 있다.
웨드부시 증권 애널리스트 댄 아이브스는 “어쩌면 앞으로 오랜 기간기술주 랠리를 유도할 수도 있다”고 기대했다.
미 상무부 산하 인구조사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이번에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된 품목들은 지난해 미국의 대중수입 가운데 23%를 차지했다. 금액으로는 약 1000억 달러에 이른다.
이번 관세 면제 대상 품목 가운데 26%가 지난해 중국에서 수입됐다. 특히 스마트폰은 81%, 컴퓨터 모니터는 78%가 중국산이었다.
전자제품을 관세 대상에서 제외한 것은 가격 폭등에 따른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을 줄이기 위한 고육책인 것으로 보인다.
아이폰을 비롯해 각종 전자제품 가격이 치솟으면 인플레이션이 자극을 받는 것을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높아진 불확실성
비록 일부 품목 관세 면제가 시장 불안감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고는 하지만 이로 인해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난맥상, 정책 불확실성은 더 높아지면서 실물경제가 위축될 것이란 우려는 강화됐다.
일부 애널리스트는 이번 관세 면제 조처는 트럼프 통상 정책의 본질이 혼돈 그 자체라는 것을 다시 입증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특히 트럼프가 엄청난 관세를 물려 제조업을 미 국내로 다시 끌어들인다는 목표를 갖고 있지만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목표라고 이들은 지적한다.
일례로 웨드부시의 아이브스는 아이폰을 중국에서 만들면 1000달러에 팔 수 있지만 미국에서 만들면 3500달러는 받아야 수지타산이 맞는다고 분석했다.
비용만이 문제가 아니다.
미국에 제조업 공장을 짓는다고 해도 이 곳에서 일할 전문인력을 구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지적들이 많다.
반도체
트럼프 통상정책 난맥상은 조만간 반도체에 관해 국가 안보를 이유로 수입을 통제할 수 있는 조사에 착수한다는 보도로도 확인된다.
트럼프는 전자제품 상호관세는 면제하면서도 반도체 수입은 통제하려 하고 있다.
WSJ은 백악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트럼프가 조만간 반도체에 관한무역법 232조를 발동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 조항은 대통령이 국가 안보를 위협한다고 판단할 경우 수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과거에도 232조 발동으로 조사가 이뤄지면 결론은 관세였다.
반도체에 관세가 매겨지면 이번에 상호관세 면제 대상이 됐던 제품들 상당수도 타격이 불가피하다.
김미혜 글로벌이코노믹 해외통신원 LONGVIEW@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