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바이어들 "90일 내 최대한 출하"... 선불 주문 급증
베트남 수출업계 "관세 최종 결정 불확실성에 대비 중"
베트남 수출업계 "관세 최종 결정 불확실성에 대비 중"

하노이에서 가구 공장을 운영하는 중국인 사업가 제이슨 우(Jayson Wu)는 "관세가 부과됐을 때 많은 사업을 잃었는데, 하룻밤 사이에 주문이 쇄도했다"고 말했다. 우는 2019년 중국을 겨냥한 미국의 반덤핑 관세를 피하기 위해 공장을 베트남으로 이전한 바 있다.
"미국 고객들이 많은 선불 요구를 가지고 돌아왔다. 그들은 트럼프가 앞으로 90일 안에 또 어떤 결정을 내릴지 매우 두려워하고 있다"고 그는 설명했다. 미국 기업들은 베트남 공장들에 90일 유예 기간 내에 가능한 한 많은 상품을 선적해달라는 압박을 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베트남은 최근 몇 달간 미국과의 양자 무역에서 큰 흑자를 기록하며, 미국 관세를 피하려는 중국 기업들의 투자처로 부상했다. 이로 인해 베트남은 워싱턴의 무역 정책 표적이 되었다. 미국이 이달 초 '호혜적' 관세 계획을 발표했을 때, 베트남은 46%라는 높은 징벌적 관세율을 부과받을 위기에 처했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90일 동안 높은 관세를 유예하고 대신 10%의 글로벌 '기준' 관세만 적용하기로 한 결정은 베트남 공장들에 일시적 숨통을 틔워주었다. 다만 이러한 불확실성은 공급망 전체를 혼란에 빠뜨렸다.
하노이에서 선반 제조 사업을 운영하는 조우 하오슈에(Zou Haoxue)는 "지난 며칠 동안 주문이 급증했다"며 "가장 가까운 수출 고객 중 한 명이 4월 9일 미국 고객을 만나러 미국으로 갔는데, 바로 다음 날부터 전화가 계속 울렸고 모두가 90일 이내에 배송을 완료하기를 원했다"고 말했다.
2012년부터 이 사업을 해온 조우는 "우리 대부분은 최종 관세가 그렇게 높지 않을 것이라고 믿고 있다. 아마도 10%에서 기껏해야 20% 정도일 것"이라며 "미국은 우리의 수출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관세가 20%가 된다면 미국 고객들과 비용을 분담하게 될 것이다. 조금 아프겠지만 우리를 망가뜨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은 베트남,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3개국 순방을 시작하며 미국의 관세로 인한 여파를 완충하기 위한 더 깊은 협력을 촉구했다. 시 주석은 하노이에서 인공지능, 세관 검사, 농업 및 미디어 협력 등 45개의 협약을 체결했다.
베트남 정부는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제안된 관세율을 22%에서 28%로 축소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하노이는 이미 미국 상품에 대한 관세 인하를 제안했으며, 자국 영토를 통과하는 중국 상품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고 중국행 민감 화물에 대한 감독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계약상 이유로 성만 공개한 전자제품 공장 소유주 티안(Tian)은 현재 엔비디아와 폭스콘 등 거대 기업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그녀는 "관세는 중국에서 시작되어 이제 동남아시아로 확산되고 있다"며 "우리 같은 중소기업이 실제로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 관세가 발효된다면, 그것은 마치 죽기를 기다리는 것과 같다. 우리는 이 거대한 권력 게임에서 무력하다"고 토로했다.
베트남은 미·중 무역 갈등 초기에 의류, 신발, 가구, 전자제품 등 산업 역량의 상당 부분을 중국에서 흡수하며 명백한 수혜국이었다. 그러나 최근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로 베트남 역시 불확실성에 직면하게 됐다.
티안은 "모든 것이 불확실성으로 가득하지만 우리는 여전히 준비돼 있다"며 "언젠가 공급업체가 다시 이전을 요청하면 그들이 우리를 필요로 하는 곳이면 어디든 가야 한다"고 말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