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일(이하 현지시각)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아프리카 지역 업무를 사실상 폐지하고 민주주의, 인권, 난민 문제를 담당하는 부서를 해체하는 내용의 행정명령 초안을 검토 중이다.
이 초안은 국무부의 아프리카 업무를 전면 폐지하고 아프리카 지역의 대사관과 영사관을 오는 10월 1일까지 대부분 폐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대신에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산하에 소규모의 '아프리카 특사실'을 신설해 테러 대응 등 일부 핵심 사안만을 다룰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고 NYT는 전했다.
NYT에 따르면 국무부 본부에 있는 기후변화, 난민, 민주주의, 인권 관련 부서들도 폐지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외교관 채용을 위한 외무시험을 폐지하고 대통령의 외교 정책에 '정치적으로 부합하는 인물'을 선발 기준으로 삼는 새로운 인사 시스템을 도입할 계획이다.
국무부는 오는 9월 30일까지 외교관과 공무원들에게 명예퇴직을 제안하고 대규모 인력 감축을 단행할 예정이라고 NYT는 보도했다.
초안에는 국무부의 기존 지역별 국을 폐지하고 유라시아, 중동, 라틴아메리카, 인도-태평양 등 4개 '지역군(corps)' 체제로 재편하는 방안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각 지역군은 해당 지역의 정책 수립과 실행을 담당하게 된다.
이같은 개편안은 국무부의 '임무 전달을 간소화'하고 '낭비, 사기, 남용을 줄이기 위한 규율 있는 재조직'을 목표로 한다고 초안은 밝히고 있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는 국무부와 국제개발처(USAID)의 예산을 2026 회계연도에 절반 가까이 삭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로이터통신은 지난 14일 트럼프 행정부가 국무부 예산을 300억 달러(약 42조원) 이상 줄이고 해외 원조를 75%까지 삭감하는 계획을 마련 중이라고 보도했다. 이로 인해 최대 30개의 해외 공관이 폐쇄될 수 있으며, 특히 아프리카와 유럽 지역이 주요 대상이 될 것으로 알려졌다.
또 USAID는 대부분의 기능이 국무부 산하 인도지원국으로 통합되며 전 세계 1만여 명의 직원 중 294명만을 유지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이로 인해 글로벌 보건, 빈곤 퇴치, 교육 등 다양한 분야의 원조 프로그램이 중단될 위기에 처해 있다.
이러한 조치는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 정책의 일환으로 외교 정책과 연방 정부 구조 전반에 걸쳐 대대적인 개편을 예고하고 있다고 NYT는 덧붙였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