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일(이하 현지시각)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글로벌 리스크 자문위원회는 미국의 공공정책 자문사인 글로벌 시추에이션룸의 의뢰로 최근 발표한 '평판 리스크 지수' 보고서에서 조사에 참여한 17개국 58개 산업 분야의 전·현직 고위 공공정책 전문가 117명 중 약 30%가 머스크와의 연관성 또는 그의 비판 대상이 되는 것이 기업에 가장 큰 평판 리스크를 초래할 수 있다고 응답했다고 밝혔다.
머스크 CEO는 지난해 11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 캠페인에 거액을 기부했으며 올해 1월 2기 트럼프 행정부에서 신설된 '정부효율부'를 이끌며 연방 예산과 인력 감축을 주도하고 있다. 그의 이같은 행보는 언론과 여론의 집중적인 비판을 받고 있으며 퀴니피액 대학교가 지난 3월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미국 유권자의 60%가 머스크와 정부효율부의 연방 공무원 처리 방식에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이번 조사에서는 AI의 오용이 기업 평판에 미치는 영향이 머스크와의 연관성보다 더 심각한 위협으로 지목됐다. 딥페이크, 허위정보 생성, 편향된 의사결정, 비윤리적 AI 활용 등은 온라인에서 부정적인 보도를 유발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요소로 평가됐기 때문이다. 위원회의 한 전문가는 "AI가 기업 내에서 제대로 이해되거나 관리되지 않으면 되돌릴 수 없는 파급 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양성·형평성·포용성(DEI) 정책의 후퇴도 세 번째로 큰 평판 리스크로 지목됐다. 트럼프 행정부는 정부와 군은 물론 하버드대학교 등 민간 부문에서도 DEI 프로그램을 철회하도록 압박하고 있으며, 하버드가 이를 거부하자 20억 달러(약 2조7000억원)의 연방 연구 자금을 삭감했다.
이 지수는 분기별로 발행될 예정이며 기업들이 급변하는 사회·정치적 환경 속에서 평판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위원장을 맡은 이사벨 구즈만 전 미국 중소기업청장은 "이 데이터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조직이 지속적으로 직면하는 복잡한 커뮤니케이션 과제를 나타낸다"며 "단기적인 정치적 압력이나 미디어 사이클에 휘둘리기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신중한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