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이 미국 정부가 비트코인(BTC)에 대해 공식적으로 계속해서 지원할 것이라는 의지를 표명했다.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매거진이 28일(현지시각) 보도한 바에 따르면,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이 "미국은 비트코인을 수용하고 있으며, 정부는 계속해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서 달라진 암호화폐 산업에 대한 변화의 기조를 나타내는 모습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후 '가상자산 대통령'을 자처하며 기존 바이든 행정부에서 이뤄졌던 불합리한 규제 체계를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이런 기조의 변화로 미국 내 총 50개 주 중 36개 주에서 비트코인 전략 비축안 관련 법안이 추진되고 있다. 지난 28일 비트코인 데이터 플랫폼 비트코인로(BitcoinLaws) 집계에 따르면, 미국 내 총 50개 주 중 36개 주에서 비트코인 전략 비축안 관련 법안을 추진하고 있다.
애리조나 주는 28일 비트코인 전략 비축법안 세 번째 독회와 함께 최종 투표를 진행한다. 법안이 최종 통과되면 주지사의 서명을 거쳐 공식 법률로 제정되며, 주 재무부와 공적 연금 시스템은 전체 자산의 최대 10%를 비트코인에 투자할 수 있게 된다.
그동안 시장에서는 미국 연방 정부가 범죄·민사 사건에서 압수한 비트코인을 전략적으로 비축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직접적인 매입이 아닌 '압수물 관리' 차원에 그쳐 실망감이 나타나기도 했다. 그러나 애리조나 주의 이번 법안이 통과될 경우 공공 자금을 활용해 비트코인을 적극적으로 매입하고 보유하는 첫 사례가 될 전망이다.
연방 정부 차원에서는 미진했던 비트코인 직접 매입이 주 단위에서는 현실화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탄으로 보이고 있다.
이어서 텍사스, 뉴햄프셔, 유타 등 일부 주는 유사한 법안을 추진하고 있으며, 애리조나 주의 사례가 이들 지역의 입법 논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시장에서는 미국의 비트코인 비축안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가상자산 은행 시그넘(Sygnum)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중인 디지털 자산 비축 법안 등으로부터 올해 2분기부터 신규 투자자 유입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미국 연방 정부뿐 아니라 주에서 비트코인 전략 비축안을 추진하는 것은 인플레이션 대비 때문이다. 발행이 사실상 무제한인 달러 등 법정화폐의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가치 하락이 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비트코인은 희소성이 있는 자산이며 기존 통화와 달리 발행량이 2100만개로 제한돼 있기 때문에 채굴량이 제한된 금과 유사한 성격으로 보이고 있다. 이미 전략적 준비자산에 편입된 금과 함께 비트코인을 경기 불황이나 통화 가치 하락에 대한 방어 수단으로 이용하겠다는 구상이다.
전 세계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인 바이낸스의 최고경영자(CEO) 리차드 텅도 최근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미국은 트럼프 행정부 하에서 디지털 자산 규제 체계와 국가 주도 전략 비축 등 가상자산 친화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며 "바이낸스는 많은 국가와 협력해 가상자산 전략 비축안 마련을 지원했다"고 말했다.
다만 변수들도 존재하고 있다. 케이티 홉스 애리조나 주지사는 장애인 복지 예산안이 통과될 때까지 모든 법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법안이 하원에서 통과되어도 주지사의 거부권 행사로 인해 법안이 최종적으로 법제화가 지연되거나 무산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용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scrait@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