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연준 FOMC 기준금리 6연속 "동결"

공유
0

연준 FOMC 기준금리 6연속 "동결"

연준 FOMC 올해 금리인하 사실상 포기 …파월 기자회견

FOMC
FOMC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 금리를 또 동결했다. 6회연속 동결이다.

2일 뉴욕증시에 따르면 연준은 이날 이틀간 일정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끝내면서 기준금리를 동결한다는 정책 성명서를 발표했다.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일(현지시간) 기준 금리를 또 동결했다.
연준은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뒤 기준 금리를 현재 수준인 5.25~5.50%로 유지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7월까지 2001년 이후 최고 수준으로, 공격적인 금리 인상을 단행한 연준은 지난해 9월 이후 이 날까지 6회 연속으로 금리를 동결했다.

연준 정책성명서는 이어 최근 3개월간 인플레이션이 시장 예상보다 높게 나타났기 때문에 '물가상승률이 여전히 높다'는 기존 평가도 유지했다. 뉴욕증시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금리를 내리지 않고 오히려 올릴 수 있다는 전망도 소폭이긴 하지만 많아지는 모습이다.

FOMC에 앞서 플레이션이 둔화할 조짐이 보이지 않아 연준 인사들도 금리인하에 대한 경계심을 풀지 않았다. 래피얼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최근 "연말까지 기준금리를 내릴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않다"고 말했으며 토머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는 경제 전반의 물가 압력이 완화되고 있다는 확신이 커지지 않았다는 의견을 밝혔다.

한국시간 3시 30분 부터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기자회견을 할 예정이다. 1분기 경제성장률이 거의 2년 만에 가장 낮은 1.6%를 기록하는 등 경기 둔화 조짐이 몇 달간 이어졌고 물가나 고용도 견조한 상황이어서 경제지표가 설득력 있는 반전을 보일 때까지 금리 인하를 미루겠다는 당국의 현 정책 기조는 바뀌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연준은 지난 3월 회의 때는 연말까지 3차례의 금리 인하를 예상했지만 파월 의장의 최근 발언을 보면 이런 전망은 약화한 것으로 보인다. 파월 의장은 16일 한 포럼에서 "최근 경제 지표는 확실히 더 큰 확신을 주지 못하고 있다"며 "오히려 그런 확신에 이르기까지 기대보다 더 오랜 기간이 걸릴 것 같다"라고 말했다.
JP모건의 마이클 페롤리 이코노미스트는 "연준의 성명은 지난 3월 회의 후 발표된 것에서 거의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면서 파월 의장은 연준이 필요한 만큼 금리 인하를 늦추되 데이터가 뒷받침한다면 더 빨리 움직일 준비가 되어 있다는 점을 재차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금리옵션 상황으로 가늠하는 연준의 금리 인상 가능성은 소폭 올라갔다. 연준의 하루짜리 초단기 금리인 SOFR 금리는 현재 5.31%인데 이것이 연말까지 0.25%포인트 올라갈 확률은 이달 초 26%이던 것이 현재 29%로 늘었다.

전문가들은 연준이 다시 긴축에 나서려면 인플레이션이 본격적으로 재가속화되어야 하기 때문에 실제 이런 일이 발생할 것으로는 거의 보지 않고 있다고 로이터통신가 보도했다. BNP파리바와 맥쿼리은행은 연준의 금리 인하 전망 시기를 늦춰 잡았다. BNP 파리바는 금리인하 시점을 올해 12월로 늦췄으며 맥쿼리는 내년에 첫 금리인하가 이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앞서 뱅크오브아메리카(BoA), 바클레이스, 씨티, 골드만삭스 등 9개 주요 은행 모두 연준이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내다봤다.마이클 가펜 BoA 애널리스트는 “메시지는 ‘지켜보자’가 될 것이고 정책이 효과를 발휘하기까진 시간이 더 필요할 것”이라며 “강해진 인플레이션에 대한 답은 더 오래 머무르는 것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파월 의장 기자회견에서 ‘whether(가정법)’와 같은 단어 사용이 올해 인하를 꺼린다는 단서가 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애나 웡 블룸버그이코노믹스 이코노미스트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이번 회의에서 매파적으로 선회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적어도 인하 횟수에 대한 연준 위원들의 중앙값이 더 줄었음을 보여줄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이어 “더 매파적인 방향으로 간다면 파월 의장은 (올해) 인하가 없을 가능성을 시사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연준이 양적 긴축으로 알려진 7조4000억 달러(약 1경 원) 규모의 대차대조표 축소 속도를 늦출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연준은 3월 FOMC 회의에서 “위원들은 속도를 절반가량 늦추는 것을 대체로 선호했다”며 수정 가능성을 암시했다.

뉴욕증시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이후 급락했다. 미국 1분기 고용 비용이 높게 나오면서 올해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하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이어져 주가지수는 일제히 반락했다. 한국시간 1일 아침에 끝난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70.17포인트(1.49%) 하락한 37,815.92에 거래를 마쳤다.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80.48포인트(1.57%) 하락한 5,035.69를,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325.26포인트(2.04%) 급락한 15,657.82를 나타냈다. 연준이 올해 금리인하를 시작하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면서 주가지수는 하락 폭을 키웠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최근 인플레이션이 2%를 향해 낮아질 것이라고 확신하는 데 더 오래 걸릴 수 있다며 금리인하가 여의치 않음을 시사했다. 미국 고용시장 관련 임금 지표가 견조한 양상을 보였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1분기 고용비용지수(ECI)는 계절 조정 기준 전 분기 대비 1.2% 올랐다.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이코노미스트 예상치인 1.0% 상승을 소폭 웃돌았다. 지난해 4분기에 기록한 0.9% 상승보다도 높았다.
뉴욕증시 이미지 확대보기
뉴욕증시


기술주 실적 기대를 불러일으켰던 매그니피센트7(M7·애플, 아마존닷컴,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플랫폼, 테슬라, 엔비디아) 주식들도 부진한 흐름을 보였다. 테슬라는 그 전일 15% 정도 올랐으나 이날은 5%대 급락했다. 애플도 1.8%대 하락했다. 엔비디아도 1.5%대 하락했다. 메타플랫폼스(페이스북)도 하락했으며, 마이크로소프트 역시 3%대 내렸다. 장마감 후에 실적이 나온 스타벅스는 매출과 순이익이 예상보다 부진하게 나오면서 주가가 시간외 거래에서 10% 이상 급락했다. 비트코인 가격도 떨어졌다. 코인베이스 기준 비트코인 가격은 장중 6만달러선을 밑돌았다.

CME그룹의 페드와치툴에 따르면 5월 연준의 금리동결 확률은 96.1%로 거의 기정사실로 인식되고 있다. 6월 미 연준의 금리동결 확률은 92.1%로 높아졌고, 6월 25bp 금리인하 확률은 7.7%로 낮아졌다. 미국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0.98포인트(6.68%) 급등한 15.65에 거래됐다. 홍콩에서도 6개 현물 ETF의 거래가 시작됐다. 미국뿐만 아니라 아시아에서의 자금 유입에 대한 기대감으로 비트코인은 6만5천 달러대까지 오르기도 했다. 그러나 홍콩에서의 첫날 거래량은 1천100만 달러에 불과했다. 미국에서 첫날 거래량이 46억 달러에 달했던 것과 대조를 이뤘다. 그
실망감에 비트코인은 급락세로 돌아섰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