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미래 보여주는 '2024년 글로벌 트렌드' 10가지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1

[초점] 미래 보여주는 '2024년 글로벌 트렌드' 10가지

GLP-1 계열 비만치료제의 대표 주자로 꼽히는 위고비.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GLP-1 계열 비만치료제의 대표 주자로 꼽히는 위고비. 사진=로이터
아무도 미래를 예견할 수는 없다. 그러나 최근 일어난 일들을 종합해 분석하면 향후 일어날 일들을 어느 정도 가늠하는 것은 가능하다.

글로벌 경제계가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흐를 가능성이 큰지를 미리 내다보는 차원에서 기술, 에너지, 기후, 사회적 변화, 인공지능(AI)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 세계적으로 나타난 2024년의 주요 트렌드를 미국의 유력 경제전문지 포브스가 크게 10가지로 정리했다.

◇ 탈세계화 시대 대비


포브스에 따르면 지난 한 해 동안 전 세계 기업들은 '탈세계화' 시대에 대비하는 데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다. 기존 글로벌 공급망의 취약성이 드러나면서 기업들은 생산 및 운영을 현지화하거나 다각화하는 전략을 채택하는 데 앞다퉈 나섰다는 지적이다. 기업들 입장에서는 다각화된 공급망과 대체 수익원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이었다. 특히 미국의 경우 제조업을 자국으로 유치하기 위한 정책을 강도 높게 시행했다.

◇ 당뇨·비만 치료제 사용 급증

2024년은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에 기반한 당뇨·비만 치료제 사용이 급증한 해이기도 했다. GLP-1 제제는 덴마크 제약기업인 노보 노디스크가 개발한 것으로 체중 감량과 당뇨 관리에 효과를 보여 '꿈의 비만약'으로 급성장했다. GLP-1 계열 치료제의 대표 주자인 위고비와 오젬픽의 광풍이 불었다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 AI의 인간 사회 침투


사람들은 지난 한 해 인공지능(AI) 모델을 조수, 쇼핑 도우미, 연인 등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챗GPT, 퍼플렉시티, 클로드 등 주요 생성형 AI 서비스가 인간의 일상생활과 감정적 관계에 깊숙이 스며들었다는 분석이다.

◇ 정부 차원의 AI 도입


이에 그치지 않고 AI는 정부 차원에서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과정에도 활용되기 시작했다. 미국의 경우 네바다 주정부가 AI를 이용해 교육 예산 할당, 실업 수당 지급 등 중요한 결정을 내리기 시작했다. 러시아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에서도 군사 분야에서 AI를 활용해 무기를 운용하는 등 위험도가 높은 의사결정 과정에 AI를 도입했다. 이 같은 추세는 AI가 더 이상 단순한 지원 도구가 아니라 정책 결정 및 운영의 핵심 기술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 소셜미디어의 폐해 인식


소셜미디어가 이제 담배와 같은 수준의 위험한 대상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소셜미디어의 중독성과 정신 건강에 끼치는 부정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그 어느 때보다 커진 결과다.

◇ 새로운 에너지원 찾기


기술 기업들을 중심으로 새로운 에너지원 탐색이 본격화됐다. AI와 데이터센터의 급격한 증가로 에너지 수요 역시 급증하면서 기술 기업들이 소형 원자로, 지열 에너지 등 새로운 에너지원을 찾는 데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 핵융합 기술의 상업화


핵융합 기술이 연구실에서 상업적 응용 단계로 넘어갔다. 핵융합 기술이 이론적인 단계를 넘어 상업적인 규모로 실현되기 시작했다는 뜻이다.

◇ 의료비 불평등


미국 최대 생명보험사의 대표가 대낮에 암살당하는 충격적인 사건이 미국에서 벌어졌으나 미국인들은 오히려 이를 환영하는 모습을 보였다는 지적이다. 의료비 상승과 의료비 부담의 불평등에 대한 분노가 극단적인 형태로 표출됐기 때문이다.

◇ 기후변화의 산업적 여파


2024년은 기후변화가 예산과 사업 모델을 뒤흔들었다는 분석이다. 기후변화의 재정적 피해가 심화되면서 보험, 항공, 농업 등 다양한 산업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 구글과 양자 컴퓨팅


세계 최대 인터넷 기업인 구글이 양자 컴퓨팅에서 매우 중요한 돌파구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됐다. 구글의 양자 컴퓨터가 기존 슈퍼컴퓨터로는 해결하는 데 수십억 년 걸릴 문제를, 즉 사실상 해결할 수 없는 문제를 단 5분 만에 해결했기 때문이다. 특히 양자 컴퓨팅의 최대 약점으로 꼽히는 ‘오류 수정’ 문제를 구글이 획기적으로 개선했다는 평가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